빅토르와 빅토르 지그재그 16
드니 베치나 지음, 필립 베아 그림, 이정주 옮김 / 개암나무 / 2010년 12월
평점 :
절판


언젠가부터 우리 사회가 원하는사람이 항상 완벽한 사람인것처럼 알고 우리 아이가 또는 나 자신이 늘 완벽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판단을 하면서 살아가고 있는건 아닌가 싶습니다. 이 책에서는 빅토르 가문에 빅토르4세인 주인공이 너무 자주 우는 이야기부터 시작이 되는데요 항상 이렇게 그리 중요하지 않은 일로 울보가 되어있다보니 친구들도 싫어하고 또 눈물이 쉴새없이 흘러 나중에는 눈물도 말라 버리게 되지요 진정 울어야 할때가 되어 울지 못한다면 이 또한 얼마나 괴로운 일인지 닥쳐보지 않으면 아마 잘 모를겁니다. 빅토르 4세의 고민에 할아버지인 빅토르 1세가 도움을 주는데요 그 도움이라는 것이 과연 빅토르 4세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아무도 예상하지 못하는것이었습니다. 



누구나 사람들에게 칭찬받는 것을 좋아합니다 특히나 어린 아이들은 선생님이나 어른들에게 칭찬받는 것을 큰 자랑으로 생각할수도 있고 나름대로 자신감을 가질수도 있고 친구들 앞에서도 늘 당당하게 만들기도 하겠지요 하지만 세상에는 완벽한 사람은 없는데요 가끔 실수를 해도 또 가끔은 잘못을 저질러도 그리 심한 피해가 없다면 서로 감싸주고 위해주고 용서해주면서 그렇게 살아야 진정한 삶을 배우는 것인데 빅토르가 할아버지에게 완벽해지고 싶다고 말해버린 순간 할아버지는 빅토르에게 이상한 책을 한권 선물하는데요 그 책에서 가르키는 대로 또 그 책에 적혀있는대로 따라하면서 점점 완벽해지려던 빅토르 4세에게 그리 좋은 일들만 생긴것은 절대 아니었습니다. 세상이치를 배우기엔 우리 아이들은 아직 갈길이 너무 먼것 같습니다 우리 어른들이 하나씩 알려주고 가르쳐주면서 사회에 잘 적응할수 있는 요령도 가르쳐야 하고 또 나를 숙일때와 나를 낮추어야 하는 때가 언제인지 알려주어야 합니다
빅토르4세에게도 아직 사회란 울타리를 하나씩 배워가는 과정인것 같습니다 세상을 다 알기엔 아직 어리지만 이렇게 멋진 할아버지가 계셔서 참 다행스럽습니다. 



우리 엄마들이 내 아이만큼은 남들보다 더 훌륭하게 키우고 싶어 하는데요 이런 욕심이 간혹 아이들은 미리 잘 자랄수 있는 과정을 중시하지 못해서 실수하는 경우가 참 많다고 여겨집니다 그냥 세상은 지구가 둥근것처럼 둥글둥글 살아야 합니다 아이에게 진정 필요한 지식은 무엇인지 그리고 우리 아이가 정말 사람답게 사는 법을 잘 받아들이면서 성장하고 있는지에 초점을 두고 늘 다독이면서 울타리가 되어주어야겠습니다 여러번 넘어지고 다시 일어나는 오뚜기처럼 우리 아이들도 여러가지 난관을 거쳐 비로소 진정한 어른이 될것입니다 빅토르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내 아이를 떠올려봅니다 앞으로 갈길이 멀지만 너무 앞서가지도 말고 너무 뒤쳐지지도 않으면서 둥글둥글 살아가는 방법을 알려주고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