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위 스님의 가벼운 밥상
정위스님.이나래 지음 / 중앙M&B / 2010년 3월
평점 :
절판


서울 관악구의 길상사라는 절에 계신다는 정위스님의 가벼운 상차림을 보게 되었습니다. 흔히들 절밥이 무엇이 그리 대단한게 있을까 하는 생각들을 많이 하시는것처럼 저도 역시나 책을 읽어보기도 전에 그렇게 미리 생각하면서 이 책을 펼쳐보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막상 책장을 넘기다 보니 색다른 맛과 멋이 숨겨져 있었던 책이 펼쳐졌습니다. 아주 소박하고 꾸밈이 전혀 없는그런 시골 밥상 처럼 그렇게 푸짐하고 또  화려하게 꾸미진 않았지만 어딘가 정성스레 준비한 마음이 엿보이는 그런 밥상을 받아본다면 얼마나 기분이 좋을까요? 아니 어떻게 그 밥상을 받아서 감히 먹을수가 있을까요? 고맙고 감사해서 말입니다. 어린 시절에 시골에서 자라온 저는 그리 풍족하지는 않았지만 대 식구가 한 자리에 모여 앉아 식사할때가 아주 즐거웠던 걸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시골 상차림이란것이 자연에서 나는 그대로의 밥상이라지요 최근들어 각광을 받고 점점 더 관심이 많이 가는 에코맘 이야기에 관련된 도서들을 얼마전까지 읽어본 저에게는 뒤산 텃밭을 직접 일구어 손수 장만한 채소들과 재료들로 맛깔스런 요리들을 척척 선보이시는 정위스님이 너무나 멋져보였던것 같습니다.

정위 스님의 상차림을 가만히 들여다 보면 고기 반찬에 풍성하게 색색가지 음식들이 즐비한건 절대로 아니지만 그래도 직접 정성들여 가꾸신 야채들과 앞마당의 작은 꽃들도 그냥 지나치지 않고 매번 음식들을 가장 정성껏 준비하셔서 가장 적절한 간을 하셔서 조리를 하신다는 것이 너무 감동으로 다가왔습니다. 사실 저는 맞벌이를 하는지라 늘 시간에 쫓긴다고 생각하여 음식을 차리거나 준비할때에 매번 급하게 대충대충 해서 먹고 있었거든요 이런 제 모습과 너무나도 상이하여 책을 읽는 내내 창피함을 감출수가 없었습니다. 정위스님의 가지런한 상차림을  가만히 들여다 보면 구수한 냄새가 풍기는 듯이 풍성한 야채들과 된장과 어우러진 자연밥상이 차려지곤 하는데요 먹지 않고 바라만 보아도 그 예쁜 음식들에 힘이 불끈 솟아 날것만 같습니다.마치 어릴때 시골에서 우리 친정 어머님이 차려주신 그런 밥상처럼 느껴지기도 하고요  그때는 그런 밥상이 그저 감사한줄도 모르고  지내왔었지만 지금 생각해 보면 우리 어머님들의 마음이 담겨있는 시골 밥상이었겠구나 싶습니다 그리고 지금도 그런 밥상을 기다리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가장 한국적이고 가장 토속적인 음식이야 말로 우리 몸에 해를 끼치지 않고 에너지로 다시 거듭날수 있을거라 봅니다 나이가 점점 들어갈수록 자꾸만 몸이 건강한 음식들을 찾고 있다는 느낌이 드네요 인스턴트와 편한 음식들에 길들여져가고 있는 우리 현대인들에게 정위스님의 음식들을 모두에게 먹게 해 주고 싶다는 생각도 들어요

그리고 지금 이렇게 정위스님의 상차림과 더불어 에코이야기도 소개가 되고 있는데요 이런 이야기를 들어 보니 그 옛날 어린시절 추억들이 자꾸만 떠오르곤 합니다. 형제들의 옷이 물려입고 또 물려입다가 결국 헤지거나 구멍이 나면 친정 엄마는 어김없이 밤눈도 어두우신데 침침한 눈을 부비면서 실을 꿰어 기우고 기운 옷과 양말들로 우리 형제들을 키우곤 하셨지요 그 당시에는 양말도 기워신고 바지 무릎이나 팔꿈치 뒷부분을 기워 아예 다른 색감 천으로 덧대어 입는것이 당연해 보였던 것 같기도 합니다. 어느새 그런 것도 다 추억이 되어버렸네요.정위스님의 소박한 삶을 들여다 보면서 자꾸만 그런 추억들이 슬그머니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


요리를 하는 손길에 따라 음식의 맛도 달라진다고 합니다. 정위스님은 모든것을 하나도 그냥 버리는 법이 없습니다. 표고버섯 불린 물도 다시 사용하는 지혜와 비빔밥에 나물들은 간을 모자라게 한다는 것도 새로이 알게 되어버린 참 지혜 요리법이 되어버렸습니다.오이냉면과 열무냉면에서도 오이양념에 고추장을 넣지 않아야 맛이 깔끔하다는 결론도 인정을 하게 됩니다 고추장의 텁텁함을 알면서도 저는 매번 왜 넣은것인지요 음식을 준비하면서 생각을 바꾸면 요리도 바뀌는 것을 배웠습니다.채소를 듬뿍 넣고 끓이는 채소떡국은 정말 새로운 맛일것 같습니다 향긋한 향이 여기까지 퍼지는것 같은 그런 떡국 저도 꼭 한번 끓여 보려고 마음 먹었습니다

이렇게 멋진 스님의 이야기를 무려 28개월이란 긴 시간동안 함께 하면서 일일이 귀찮을 정도로 질문을 해 오던 기자분의 노고도 높이 살만 합니다. 덕분에 제가 책을 읽으면서 궁금했던 요리에 대한 노하우나 기타 살림법에 대한 생각들을 잘 배울수 있었던것 같습니다 . 그렇지 않으면 제가 일일이 궁금해 했을것 같은데요 우리를 대신해서 질문해 주는 기자에게도 고맙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스님을 통해서 자연을 배우고 음식을 배우고 그리고 작은 천을 기우고 덧대어 멋진 보가 나오게 하는 마력을 가지신 정위스님을 보면서 인생을 배울수 있었습니다. 꽃수를 한땀씩 놓을때마다 조용하게 생각을 정리할것 같은 정위스님에게서 멋진 요리도 배우고 나니 저는 아직도 멀었구나 싶은 생각도 들었습니다 책 속에서 그리고 스님에게서 많은 것을 배울수 있었던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