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 밖의 고사성어 - 일상이 새롭게 보이는 뜻밖의 네 글자 25
채미현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에는 학교 교과목에서 한자 과목이 있었는데 요즘은 교과목에 한자가 사라지고 나서 한자보다는 영어에 대한 교육열이 더 높아지고 있는 추세인 것 같다. 하지만 우리 일상생활 가운데 한자의 뜻을 알아야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 상당히 크기에 한자나 한자의 네 글자로 이루어진 고사성어와 같은 뜻과 풀이에 대해서 알아둘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 책은 우리가 평소에 자주 들어오고 익숙했던 고사성어가 우리가 알고 있었던 그런 뜻이 아니라 또 다른 뜻에서 유래가 되어 사용되고 있었지만 현재는 그 뜻이 다르게 이해하고 있고 사용이 되고 있다는 것을 소개하고 있다. 과연 어떤 고사성어들이 우리가 알고 있는 뜻과 전혀 다른 뜻으로 유래가 되었던 것일까 궁금해서 읽어보게 되었다.

 

죽을 고비를 여러 번 넘기고 살아남는다는 구사일생이 원래 뜻은 아홉 번 죽고 한 번을 못 산다 해도 후회는 없다는 뜻이었다고 한다. 중국 단오절의 유래가 된 굴원이라는 인물의 이야기를 들려주며 왜 이런 유래가 생겨났는지 풀이를 해 주고 있다. 책을 읽다 보면 어떻게 이런 네 글자가 생겨났는지 쉽게 이해가 된다. 그리고 고사성어를 통해 인생에 대한 깊은 통찰력까지 얻을 수가 있게 된다. 우리가 너무나도 잘 알고 있는 천고마비도 하늘이 높고 말이 살찐다는 말이 아니라 곧 무서운 적군이 침략해 올 것이라는 뜻이었다고 하니 정말 원래 뜻이 이러했었는지 너무 궁금했다. 그래서 풀이에 대해 더 집중해서 읽어보게 되었던 것 같다.

 

한자의 뜻을 함축해서 네 글자로 표현하고 있는 고사성어는 우리가 살면서 꼭 알아야 할 인생의 지혜들이 가득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실제 생활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 고사성어들이 참 많다. 그런데 지금까지 우리가 너무나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며 사용하고 있던 고사성어들이 이렇게 완전 다른 뜻으로 해석이 되었던 것이라고 하니 정말 깜짝 놀랐다. 비슷한 뜻으로 풀이가 된 것이 아니라 완전 다른 뜻으로 해석이 되어 있다 보니 더욱 놀랐던 것 같다. ‘금의환향선견지명도 요즘 뉴스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는 촌철살인도 우리가 알고 있었던 일반적인 뜻과는 완전 다른 해석으로 다가오다니 다시 한번 풀이 과정을 읽어보고 왜 이런 뜻으로 생겨난 말인지 알게 되었다.

 

이 책은 천년을 이어온 인생사의 깊은 통찰력으로 또 다른 관점으로 나의 인생을 내다보며 새로운 지혜의 창을 열어주는 것 같다. 똑같은 고사성어라 해도 어떻게 읽고 받아들이냐에 따라서 우리가 깨닫는 과정이나 그 크기가 다르다고 본다. 좀 더 내가 나 자신에게 귀를 기울이며 내 인생에 대해 깊이 있게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앞으로도 고사성어를 더 가까이 하면서 내 삶에 든든한 지원군이 되어주었으면 좋겠다.

 

 

 

출판사로부터 도서 제공 받아

주관적으로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