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홍당무는 이제 안녕 - 발표만 잘하면 소원이 없겠네
이정화 지음 / CRETA(크레타) / 2023년 4월
평점 :
평소에 대인관계는 원만한 편이다. 처음 보는 사람들과도 어느정도 소통을 자연스럽게 하기도 하고 스스럼 없이 이야기도 잘 하는 편이다. 그런데도 공식석상에 올라서 많은 사람들 앞에서 발표를 한다거나 마이크를 잡아야 하는 상황이 오면 발표전부터 한참동안 가슴이 두근거려서 심장이 탈출할것처럼 느껴진다. 진정하려고 노력하면 할수록 더 두근거리는 가슴을 부여잡고 무대위로 단상위로 올라섰을 때 온 몸을 휘감는 열감과 더불어 목소리는 왜 떨리는 건지...창피함은 결국 모두 내 몫이 되어 시선처리도 제대로 하지 못하고 너무 나 자신이 못마땅한적이 많았다. 그래서 될수 있으면 단상위로 올라가는 일은 미루는 편이다. 하지만 이게 미룬다고 되는 일이 아니었다. 상황에 따라서 직장에서도 모임에서도 내가 올라가서 해야할 프로젝트며 발표자리가 분명히 생긴다는 것이다. 그럴때마다 난감해 하던 내가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이 난다. 아니 트라우마처럼 남아있어서 계속해서 나를 괴롭힌다. 주변에 다른 사람들은 마이크를 잡으면 목소리가 날아가는 것처럼 보이던데 왜 나는 그들과 무엇이 다르기에 이렇게 못난 행동을 하는것인지 모르겠다. 열심히 준비한 자료를 브리핑하는 것을 못해서 점수를 깍을 필요는 없었는데 말이다. 이런 나의 고민거리를 해결해줄 책을 드디어 만났다. 바로 이 책이 나의 오랜 고민을 해결해 줄 것 같아 설레이면서 책장을 열어보았다.
흔히 얼굴이 빨개지는 현상을 홍당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이 책의 저자도 나처럼 심한 발표울렁증이 있었다고 한다. 발표만 잘하면 소원이 없을정도였다고 하니 두말할 필요도 없는 것 같다. 세상에는 이렇게 홍당무가 되는 사람들이 꽤나 많은 것 같다. 발표 전 불안증후군은 도대체 왜 생기는걸까? 그리고 어떻게 이런 불안증을 해결할수 있을까? 저자는 이런 고민을 가진 독자들에게 자신이 직접 경험하고 해결해 온 과정을 소개하며 자신처럼 홍당무를 이겨낼수 있는 방법들을 알려주고 있다. 저자의 일대기를 따라가보면 일단 우리처럼 평범하지는 않았던 것 갍다. 어렸을때는 그렇게 사람들앞에서 말하는 것을 좋아했다고 하지만 자라면서 점점 불안증후군에 둘러싸여 홍당무가 되어버렸다고 한다. 발표하기전에 긴장이 되면 얼굴에 열감이 올라와서 얼굴이 빨개지고 이상한 감정들이 함께 올라와서 이런 감정을 누르려고 하면 할수록 점점 더 심해지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러면 안된다고 발표를 잘 해야한다고 실수하면 안된다고 나 자신에게 부정적인 마음의 소리들을 마구 퍼붓다보면 내 안의 자아가 나를 점점 더 위축이 되도록 채찍질 하고 있는것처럼 보인다. 사람이 긴장하면 얼굴이 붉어지는 것이 당연한건데 이걸 숨기려고 한다는 자체가 잘못된 것 같다. 좋은 생각들을 하면서 발표불안이 생기는 원인을 찾아보고 수치심을 갖기보다는 칭찬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고 했다. 부정적인 생각이 들때는 얼른 관심사를 다른곳으로 돌리는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한다. 정말 아무 생각이 떠오르지 않는다면 발표장에 형광등을 바라보라고 한다. 이런 방법이 통할까 싶지만 한번 해 보면 도움이 된다고 하니 따라해 보아야겠다.
내가 가지고 있는 부정적인 감정들은 어쩌면 내가 붙잡고 있는지도 모른다는 말이 가슴에 와 닿는다. 내가 버려야 할것들을 쉽게 버리지 못하고 있다면 빨리 고쳐야 할 부분인 것 같다. 좋은 생각들을 하는 습관을 들이자 생각도 습관이라는 말도 머릿속에 오래 남는 것 같다. 내가 하는 모든일이 실수가 되고 나에게 피해를 준다면 이런건 반드시 버려야 할 것이다. 발표를 잘하려고 너무 완벽하려고 하지 말고 내 안의 나를 편안하게 하는 생각을 해야겠다. 앞으로 홍당무에 너무 예민하게 반응하지 말고 편안한 마음으로 좋은 생각과 칭찬으로 발표장에서 얼굴이 조금 붉어진들 내가 준비한 자료를 부담없이 발표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그러기 위해서 노력해야겠다.
*출판사로부터 도서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