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방구석 일기도 에세이가 될 수 있습니다 - 끌리는 이야기를 만드는 글쓰기 기술
도제희 지음 / 더퀘스트 / 2022년 12월
평점 :
책읽기를 좋아하는 나는 소설이나 조금 깊이 들어가는 인문도서보다는 쉽게 또 빠르게 읽어 내려갈 수 있는 에세이를 특히나 좋아한다. 에세이를 읽을때면 무언가 사람 냄새가 나는 듯한 느낌을 받을때가 많기도 하거니와 내가 살아온 인생과도 묘하게 겹치는 부분을 찾아보기도 하고 때로는 잔잔한 흐름속에 나를 맡기기도 하면서 나 자신이 책을 읽는 내내 힐링이 되는 듯한 기분을 느끼기 때문에 그 매력에 빠져드는 것 같다. 일반적으로 시집을 읽으면서 상상의 나래를 많이 펼치는 분들도 계시지만 나는 편안하게 읽을수 있는 부담없는 에세이를 평소에도 아주 좋아하고 자주 읽게 되는 것 같다. 그런데 책을 가까이 하면서 자주 읽다보니 어느 순간 내가 걸을 직접 한번 작성해 보는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기 시작했다 그래서 그런지 몰라도 최근에는 책읽기도 좋아하지만 반면에 글쓰기에 대한 책들도 자주 찾아 읽어보게 되는 것 같다. 그런데 이 책은 글쓰기에 관련된 책이 아니라 아예 내가 평소에 너무 좋아하던 에세이를 작성하는 방법에 대한 절묘한 테크닉을 알려주는 책이라고 하니 관심이 아주 많이 갔고 기대를 하면서 책장을 열어보게 되었다.
에세이라는 것이 무얼까 정확하게 말하기보다 쉽게 표현하자면 일상적인 평범한 삶속에 이야기들을 세상에서 가장 자유롭게 끌어내는 글이라고 해도 될 것 같다. 어떤 소재든 상관없이 일정한 형식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작성하게 되는 글이기에 일반적으로 우리가 평소에 자주 쓰던 일기가 될 수도 있고 누군가와 편지글을 모아모아서 한편의 에세이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편안한 산문이나 수필처럼 에세이는 누구든 가볍게 열어볼 수 있고 읽어볼 수 있는 그러나 그 깊이는 각 개인의 취향에 따라 성향에 따라 무한대로 상상의 나래를 펼칠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런 장점때문일까 점차 에세이를 좋아하는 독자들이 많아지고 있는 것 같다. 이 책에서는 좋은 에세이의 7가지 특징을 알려주고 있는데 뚜렷한 타깃독자가 있어야 하고 참신한 소재에 표현력이나 솔직함, 정보와 통찰력에 유머까지 겸비해야 한다고 하는데 모두가 제가 원하는 스타일이라 고개가 끄덕여진다. 마치 나의 일기를 떠올려보면 어느정도 이해가 빠를 것 같아 혼자 웃게 되는 시간이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글감 찾기가 아닐까 싶은데 이 책에서는 글감을 찾기위한 방법도 알려주고 있다. 나 자신에게 질문을 해서 관심사를 끄집어 낼수 있는데 당연한 것 같은 생각들에 ‘왜?’하는 의문을 가지고 답을 하나씩 찾아가다보면 보이지 않던 나만의 글감을 찾아낼수 있는 것이 신기한 것 같았다. 사람에게 이름이 매우 중요하듯이 책에서는 제목이 아주 중요한 포인트라고 한다. 내가 에세이 글감을 찾아 글을 작성하더라도 좋은 제목을 찾지 못한다면 독자들의 관심이 멀어질수도 있고 눈에 띄지 않을수 있기에 한번이라도 손이 가서 만져볼수 있도록 하려면 제목도 아주 잘 찾아주어야 한다. 좋은 제목을 찾아주는 방법을 찾아보면서 내가 글을 쓴다면 어떤 글감에 어떤 제목을 넣어주면 좋을지 찾아보는것도 신선하면서도 재미있을 것 같다.
이 책은 책을 읽으면서 하나씩 책을 직접 써 보는 연습을 할 수 있도록 저자가 독자들에게 일단 한번 해 보자는 코너를 만들어 두어서 참 좋다. 책으로 읽기만 한다면 이론상으로만 알게 되는 것을 직접 바로 읽을 내용을 토대로 책 제목도 붙여보고 살을 붙여보게 된다면 하나씩 나의 능력치가 올라갈 것 같다. 물론 연습이라 할지라도 아예 눈으로 책을 읽기만 하는것보다는 아주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아서 마치 강의를 듣고 과제를 하는것처럼 재미있게 글을 써 볼수 있어서 좋았다. 독자들이 편안하게 읽을수 있도록 너무 어려운 문장이 아니라 쉽게 읽히도록 글을 쓰고 싶다. 약간의 유머를 넣어 웃을수 있도록 해 주고 싶다. 퇴고하는 방법까지 확실하게 배울수 있었던 책이라 글쓰기에 대한 확실한 공식을 모두 배울수 있어서 아주 도움이 많이 되었던 것 같다. 앞으로 내가 글을 쓰는 그날까지 파이팅해보고 싶다.
이 책은 출판사로부터 도서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