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47가지 심리학 법칙 - 행동심리학에서 조직심리학까지 초보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심리학 입문서!
타쿠미 에이지 지음, 최우영 옮김 / 생각의날개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의 마음을 알고 싶을 때 심리학에 대해 이해가 되어 있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이 책에서는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47가지 법칙들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하나씩 풀어보면서 평소에 궁금했던 사람들의 마음을 들여다 볼 수 있어서 좋은 책이다. 최근에는 인공지능 심리학이 등장하여 심리학이 다양화 되어가고 있는 반면에 잘못된 전문가도 있다고 하니 주의해야 할 것 같다. 다양한 심리학에 대해서 알아보기란 쉽지 않겠지만 이 책은 우리가 알고 있으면 좋은 심리학을 쉽게 이해하기 무리가 없도록 그림과 함께 또 밑줄과 함께 중요 포인트도 짚어주고 있어서 더 눈에 잘 들어오는 것 같다.

 

가장 제가 관심있게 보았던 부분은 사람의 뇌를 풀가통했을 때 머리가 좋아질까 하는 부분이었다. 사람 체중의 20분의 1의 무게로 에너지 소비는 20%나 되는 우리의 뇌인데 학습을 할때면 전두엽 부분을 활성화 하지만 누군가의 고민을 들어줄때면 뇌의 좌측이 활성화가 되며 여러 뉴런의 집단이 병렬로 연결이 되어 있는 뇌는 집단으로 서로 상호작용을 한다고 한다. 뇌의 병렬 분산처리 모델의 구조를 그림으로 살펴보니 이해가 더 쉽게 되어서 좋았다.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대인관계 심리학에서 능력이 없는 사람이 능력이 있다고 착각한다는 더닝 크루거 효과가 눈에 확 들어왔다. 직장동료 가운데 이런 케이스가 있어서 더 관심있게 읽을수 있었다. 더닝 크루거 효과는 능력이 높은 사람일수록 자신을 과소평가하고 반대로 능력이 없는 사람일수록 자신을 과대평가한다고 한다. 더닝은 이런 현상을 무지에 의한 이중부담이라고 하며 메타인지 능력을 측정하는 자가 체크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마음의 병을 고치는 임상심리학에서 클라이언트 중심치료에 공감하는 부분이 많았다. 카운슬링을 할 때 환자의 이야기를 가만히 들어만 주었는데 치료가 된다는 말이 있다.안정된 상태에서 환자의 이야기를 들어주기만 해도 라포가 형성이 되어 실제 치료가 된다는 것이다.이런 현상은 우리 인간관계에서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라고 하니 잘 기억해 두면 좋을 것 같다. 방송에서 오은영 박사님의 금쪽처방이 내려지는 프로를 자주 보고 있다. 그 방송에서 보면 문제인 아이가 있어서 부모가 방송출연을 신청해서 실제 생활을 들여다보고 어떤 부분이 문제인지 상담을 해 주고 솔루션도 해 주는 프로이다. 아이의 분노조절장애가 자주 등장하기도 하는데 이런 폭력적인 행동을 보일 때 그 아이만 문제가 있는것처럼 생각하지 말고 치료하려고 하지 말고 가족 전체의 문제로 보고 가족치료법을 해야 한다고 한다. 아이의 우울이 아이 개인의 치료로 해결이 되는 것이 아니라 가족 전체의 치료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한다. 가족구성원들의 커뮤니케이션에 초점을 두고 살펴보면 아이의 문제가 곧 가족의문제로 보여질것이기 때문이다.이 책을 읽으면서 어렵게만 생각했던 심리학에 대해 조금이나마 가깝게 다가갈 수 있어서 좋았다. 한권의 책으로 인간관계에 대한 심리학을 들여다 볼수 있었고 그림과 함께 살펴보니 이해가 더 쉽게 되어서 좋았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