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센티 더 가까워지는 선물보다 좋은 말
노구치 사토시 지음, 최화연 옮김 / 밀리언서재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자기 중심적으로 생각하고 판단하고 행동하는 존재인 것 같다. 어린 아이들도 자기 물건에 손을 대면 버럭 화를 내기도 하고 소리를 지르기도 한다. 그래서 영유아기만 해도 어린 아가들이 자기 중심화가 시작된다고들 한다. 모든 세상의 중심이 자기 자신에게 있으니 상대가 누구이든 상관없이 다툼이나 갈등이 생기는 것이 당연지사가 아닐까 싶다. 나 역시도 어려서부터 나를 중심에 두고 생각하고 상대를 대했던 것 같다. 상대방의 기분이나 생각보다는 항상 내가 먼저였고 나의 기분을 상하게 하는 사람을 경계하고 거부했던적도 있었다. 내마음이 편안해야 좋은기분이 들었기에 누구든 내 말을 잘 들어주면 좋은 친구라고 여겼던 것 같고 내가 하는 말보다 자기 말을 우선시하는 친구나 지인들을 보면 괜히 멀리하고 싶어하고 다시 안보고 싶어한적도 있었던 것 같다, 이러한 나의 모순들이 지금까지 나의 사회생활에 적잖이 영향을 주었을거라 본다. 결국엔 나 자신에게 있었던 문제를 애써 외면하고 찾아보려고 하지 않았었구나 싶은 생각이 든다.

 

이 책은 모든 대화의 중심을 상대방에게 두어야 한다고 말한다. 사람은 누구나 자신의 존재를 인정받고 싶어하고 관심을 끌고 싶어하기에 우리가 대화의 중심을 누구에게 두는가에 따라 대화 내용이 달라지기 때문에 이처럼 상대방을 중심에 두고 대화를 나누다 보면 별도로 무엇을 하려고 하지 않아도 대화가 술술 풀리고 상대방을 위한 대화가 이어지게 되니 대화가 화기애애한 분위기로 진행이 된다고 한다. 당연한 이야기인데 우리는 거의 대부분이 자기 자신을 중심에 두고 다른 사람에게 애정과 존경을 받고 싶어하는 마음이 먼저이기에 이런 상황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상대방을 인정하고 상대방을 중심에 두고 질문하기를 시작해 보면 지금보다는 훨씬 더 가까워지는 선물같은 좋은 말들이 저절로 펼쳐질 것이다. 이러한 대화법은 직장에서 상사나 부하직원이나 동료간에도 가능하겠고 학부모 모임이나 친구나 이웃들 간에서도 마음에 드는 이성간에도 모두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정말 그런 것 같다. 이 책을 읽다보니 정말 아주 쉬운 이런 방법을 왜 진작 몰랐던가 싶은 생각이 들었다. 나를 중심에 두고 항상 내 말만 들어달라고 대화를 이어갔던 지난날들을 되새겨 보게 된다. 주변에서 내 얘기를 잘 들어주는 친구도 있고 지인도 있었는데 그 사람들은 이미 이 책의 내용처럼 상대방을 중심에 두고 대화를 나누었던 것이 아니었던가 싶어 괜히 미안한 마음과 고마운 마음이 들었다.

 

상대방을 주인공으로 만드는 대화법이라고 하니 갑자기 아주 어려운 대화기술이 필요한 것 같이 들린다. 하지만 사람들을 만나서 대화를 나눌 때 누가 이야기의 주인공인지만 가만히 생각하며 대화를 나눈다면 준비물도 필요없이 좋은 이미지를 상대방에게 충분히 심어줄수 있어 아주 인간관계가 좋아질 것이다. 이렇게 말하면 기존에 자기 중심적 대화를 이어가던 사람들이 확실한 개념을 이해하기 어려울 것 같아 이 책에서는 다양한 대화법을 예시로 들어주고 있다. 직접 대화내용을 읽다보니 어느새 나도 이렇게 대화를 해야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어서 아주 머릿속에 각인이 잘 되는 느낌이 든다. 특히 상대가 한 말을 잘 기억했다가 다음에 만났을 때 그 말을 인용하며 인사를 나눈다거나 상대방의 이야기를 인상깊게 들었다는 멘트를 같이 들려준다면 최고의 대화기술이 될거라고 한다. 이러한 좋은 방법도 잘 기억해 두었다가 나도 차차 대화의 기술로 활용해 보아야겠다. 그러기 위해서는 상대방과의 대화에 항상 집중을 잘 하고 관찰을 해야 한다는 전제가 되어야 한다. 미래의 인맥을 넓히기 위해서라도 인생에 만나는 모든이에게 애정을 가득 담아 대화를 나누어야겠다. 인간은 혼자서는 절대로 살아갈수 없는 존재이기에 상대방에게 좋은 이미지를 남기며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상대방을 중심에 두고 대화하는 노력을 꾸준히 하여 주변에 좋은 이웃과 지인들을 많이 만들어가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