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 이후 삶의 전환점이 되어가는 이 시기에
살아온 인생을 돌아보며 한숨 돌리기도 하고
남은 인생을 내다보며 깊은 한숨을 들이키기도 한다.
살아온 인생이야 후회를 한들 이미 소용이 없겠지만
남은 인생은 아직 살아가지 않은 길이기에
다시 재정비하고 앞으로의 계획을 잘 세운다면
후회없는 삶이 될수도 있기에 좀 더 신중해질수 밖에 없다.
미래에 대한 불안과 노후에 대한 고민을 풀어보려고 이 책을 읽어보게 되었다.
저자는 인생은 복잡계라고 하고 마흔은 복합기라고 표현하고 있다.
인간의 삶을 선형계도 아니고 혼돈도 아니기에 중간적 복잡계라고 표현하고 있는것이다.
인간의 삶 자체가 다이나믹하고 예측을 할 수 없기에 이 말이 정답이구나 싶었다.
또한 30대까지는 부모 그늘 아래서 살아가기에 부모의 혜택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나의 삶이라 말하기에는 무리가 있고
40대 이후가 진정한 나의 삶이라 말하고 있따.
부모 그늘에서도 벗어나고 나 자신이 노력하고 성취하는 모든것들이 나의 삶과 인생을
만들어가는 과정이기에 어쩌면 더 혹독하다고 할수도 있을것이다.
가정에서 짊어지고 갈 책임과 의무가 강화되고 결혼 후 사춘기에 접어든 아이들과 연로하신 부모님의
걱정까지 그리고 직장에서 주어진 무거운 업무까지 겹쳐지는 40대는
가만히 있어도 어깨가 무거운 시기이다.
이러한 어려운 시기인 격동의 시기 나이 마흔에는
삶의 여백을 찾아야 한다고 저자는 말하고 있다.
조금이라도 스트레스 상황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앞날을 계획하고 추진해 보는 삶이 좋을거라 여긴다.
지금까지 살아온 날들과는 다른 삶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30대에 생각하던 삶과는 확연히 다른 40대를 맞이하게 되기에
흔들리는 자신을 부여잡고 앞날을 계획할수 있도록 자신을 다져가야 한다.
이 책에서는 마흔을 지나면서 혼란속에서 자신을 놓아버릴수 있는
나약한 독자들에게 심신을 다지고 마음을 안정시킬수 있는
다양한 소스들을 제공하고 있는것 같다.
앞날이 불안하고 지금 현재 처한 상황에서 탈피하고 싶은 마흔 독자들에게
누구나 비슷한 상황이라 이해를 시키고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새로운 미션을 주듯 하나씩 또 한가지씩 새로운 마음가짐과 목표를 가질수 있도록
조언해두고 있는것 같다.
흔들리는 마흔에 이 책을 읽어본다면 많은 도움이 될거라 여긴다.
나 역시 인생의 전환점에서 이 책을 읽으면서 나만의 새로운 다짐을 해 보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