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것이 아니라 듣는 느낌의 소설이었다. 셀 수 없이 여러 번 반복해서 불러 본, 어느덧 스스로 노래가 되어 버린 명창의 소리인 듯 읽혔다. 숨 고를 틈 없이 구성진 가락처럼 연결되는 이야기는 느닷없이 시작되어 느닷없이 끝난다. 같은 리듬, 같은 음색으로 지치는 기색 하나 없이 이어지다가 마지막 음표의 음을 노래하더니 당연한 듯 끝이 났다.



이야기의 배경인 가공의 땅 '마콘도'는 저자인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가 태어난 콜롬비아로 해석하거나 좀 더 넓은 의미에서 라틴 아메리카를 상징한다고도 할 수 있을 것 같다. 하지만 보편적인 인간, 삶, 역사로 읽더라도 낯설지 않았다. 무엇을 떠올리든 그렇게 읽히는 잔인하고 고독한 민담 같은 이야기였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한편으론 그간 이 책을 읽었을 라틴 아메리카 사람들이 부러웠다. 현실보다 더 현실 같은 마술적 이야기는 그들이 공유하는 리듬으로 읽었을 때 더욱 깊은 음색으로 들릴 테니 말이다. 어느 부분에서 해학적인 미소를 지을지, 탄식을 내뱉을지 온몸으로 반응하는 추임새를 곁들이며 말이다.



같은 이름과 비슷한 운명을 대물림하는 부엔디아 가문의 몰락은 억지스럽거나 어색하지 않았다. 모를 때도 반복하고 알면서도 반복한다. 근친상간이라는 도덕적인 타락 역시 되풀이된다. 어쩌면 애초에 고유의 이름을 갖지 못 했다는 것 자체가 다의적인 의미로서 타락과 몰락을 예견하게 하는 것 같다. 저자인 마르케스는 작가이자 저널리스트였다. 「작가란 무엇인가」에 실려있는 그의 인터뷰에는 이런 내용이 있다.



˝제 작품에 대한 가장 큰 찬사가 상상력에 주어진다는 것이 저를 항상 기쁘게 합니다. 그렇지만 한편으로 제 작품의 단 한 줄도 현실에 근거를 두지 않은 것이 없다는 것이 사실입니다. 문제가 있다면 카리브해의 현실이 가장 터무니없는 상상을 닮았다는 것이지요.˝



그는 이런 이야기도 한다.



˝실제 사실로부터 개연성을 찾아내는 것은 저널리스트이면서 소설가인 사람의 일입니다. 그리고 예언자의 일이기도 하지요. 사실 저는 매우 사실주의적 작가이며 진짜 사회주의 사실주의 작품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쓰는데, 사람들이 저를 환상적인 소설을 쓰는 작가라고 믿는 것이 문제입니다.˝



저널리즘이 그의 소설에 미친 영향에 대해 묻자 이렇게 답한다.



˝상호적이라 생각합니다. 소설은 제 저널리즘을 도와주었는데, 그 이유는 소설이 저널리즘에 문학적 가치를 주었기 때문입니다. 저널리즘도 제 소설을 도와주었는데, 그 이유는 저를 항상 현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도록 도와주었기 때문입니다.˝



사실주의와 상상력을 결합한 《마술적 리얼리즘》기법으로 알려진 그의 글은 저널리즘과 문학의 만남으로 이룬 게 아닐까 싶다. 그리고 그는 백 년 동안의 고독에서 마침내 글에 딱 맞는 어조를 쓸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그 어조는 제 할머니가 옛날이야기를 들려주실 때의 어조에 근거를 두었습니다. 할머니는 이야기를 초자연적이고 환상적으로 들리게 말씀하셨지만, 한편으로는 완전히 자연스럽게 말씀하셨습니다.˝



마르케스는 예전에 「백 년 동안의 고독」을 쓰려고 시도한 적이 있었지만 그땐 그 이야기를 전혀 믿지 않은 채 이야기하려고 했었단다.



˝제가 해야 할 일은 저 스스로 제가 하는 이야기를 믿고 할머니가 이야기를 해줄 때 지으셨던 것과 똑같은 표정으로 쓰는 것이었어요. 무표정한 얼굴 말입니다.˝



저자가 자신의 글을 믿는지, 아닌지는 금세 느껴진다. 스스로 믿지 않으면 설득하려는 어조를 갖게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지나친 설득은 이야기의 힘을 떨어뜨린다. 「백 년 동안의 고독」은 이야기를 풀어가는 과정이 지극히 자연스럽다. 이를테면 말투가 빨라지거나 목청을 높이지 않으면서 처음부터 같은 속도와 톤으로 진행된다. 그렇기에 소설의 마술적 요인들에 이질감을 느끼지 않았던 것 같다. 위대한 소설이 모두 그렇듯 「백 년 동안의 고독」 역시 사람과 삶에 대한 경험이 많아질수록 다의적으로 읽힐 수 있는 소설이었다.



몇몇 곳에 밑줄을 그으며 읽기는 했지만 그 문장만을 따로 떼어 놓고 읽어 보면 굳이 꼭 옮길 필요는 없어 보이는 신기한 소설이기도 하다. 이 소설의 위대함은 몇 개의 문장이나 묘사에 있는 것이 아니라 시작부터 끝까지 고유의 리듬을 잃지 않는 연속성과 반복에 있는 것 같으니 말이다. 책날개엔 이런 설명이 있다. ˝개가 꼬리를 무는 듯한 치밀한 구조 ˝, 이 책을 읽으면 그 느낌이 무엇인지를 바로 알 수 있다. 「백 년 동안의 고독」이 궁금했던 이유는 1982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작가라는 것보다는 마르케스의 어조를 직접 체험해보고 싶었던 것이 더 컸다. 그리고 다음의 내용 때문이었다.



˝훌륭한 작가가 되기 위해 작가는 글을 쓰는 매 순간 절대적으로 제정신이어야 하며 건강해야 합니다. 저는 글 쓰는 행위는 희생이며, 경제적 상황이나 감정적 상태가 나쁘면 나쁠수록 좋은 글을 쓸 수 있다는 낭만적인 개념의 글쓰기에 대해 강력하게 반대합니다. 작가는 감정적으로나 육체적으로나 아주 건강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문학작품 창작은 좋은 건강 상태를 필요로 한다고 생각하며, 미국의 `잃어버린 세대` 작가들은 이것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 그들은 인생을 사랑한 사람들입니다.˝



무엇보다 글을 쓰는 매 순간 절대적으로 제정신이어야 한다는 것과 인생을 사랑한 사람들이라는 말이 와 닿았다. 지극히 제정신인 상태일 때 그 반대인 상태 역시 제대로 묘사할 수 있다. 문학이란 삶의 모든 요소들을 묘사함으로 완성되어 가는 것이고, 인생을 사랑하는 사람들만이 그런 노력을 하려고 한다.



쓴다는 것은 노동이며 만족이자 고통이다. 정신과 신체의 강인함은 당연한 조건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작가가 아닌 독자로서도 마찬가지이다. 모쪼록 제정신으로 살기 위해 읽고, 삶의 모든 요소들을 회피하지 않기 위해 읽고, 인생을 사랑하기에 또 읽는다. 나의 인생을 창작하는 내 삶의 작가로서 말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딩 2015-07-12 00:4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무엇보다도 마술적 리얼리즘에 빠져, 읽는저와 책속 그리고 현실과 허구를 도통 구분할 수 없는 것이 매력적이었습니다.
전체적으로는 니체의 영워 회귀나 카뮈의 부조리 철학도 느껴졌고, 쿤데라의 무거움과 가벼움 마저 들었습니다.
카뮈, 쿤데라, 마르케스가 거의 같은 시대이기도하네여 :)
마지막즈음엔 우리네 어머님들의 한 많은 삶도 그들에게서 (부엔디아 가문의 사람들) 엿보이더군요 :)
정말 읽는 이의 연륜과 경험, 상황에따라 다양한 것들을 보여줄 수 있는 작품 같아요 :)

물고기자리 2015-07-12 01:06   좋아요 1 | URL
네, 슬퍼도 눈물이 나오지 않고 기쁠 것도 없는 심정인데 읽는 것을 멈출 수 없는 소설이었어요 ㅎ 저널리스트여서 그런지는 몰라도 마르케스는 사람과 현실을 잔인할 정도로 잘 읽는 것 같더라고요~

cyrus 2015-07-12 20: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백년의 고독>의 복잡한 서사 구조가 익숙하지 않아서 완독하기가 어려웠어요. 카프카의 장편소설과 더불어서 다시 읽으려면 읽고 싶지 않은 작품입니다.

물고기자리 2015-07-12 21:11   좋아요 0 | URL
그러실 수도 있을 것 같네요 ㅎ 제가 소설을 읽는 독서 방식은 밖에서 서사를 파악하려는 유형이 아니라 각각의 인물에 대한 심리적인 동선을 바탕으로, 말하자면 인물들의 개별적인 지도를 만드는 유형이거든요. 그리고 그 지도들을 연결하여 더 큰 지도를 그려보는 거지요.

장단점이 있겠지만 제가 가장 관심을 가지는 부분이 사람, 그 자체라서 인간성을 제대로 묘사할 줄 아는 작가라면 무슨 내용이든 읽는 체질이에요. 제대로 읽든, 아니든 말이죠^^ 작가의 묘사력이 부족한 경우엔 그 작가를 읽어 보려는 시도를 하는 편인데 제가 읽는 건 이야기가 우선이 아니라 사람 그 자체라서 그런 게 아닐까 싶어요. 제 본질적인 성향 탓이겠죠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