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식으로 꼭 알아야 할 세계의 신화
아침나무 지음 / 삼양미디어 / 2009년 7월
평점 :
절판
"왜 그리스 로마 신화뿐일까?"
<상식으로 꼭 알아야 할 세계의 신화>를 읽기 전에는 신화하면 그저 그리스 로마신화만이 연상되었다. 우리의 단군신화도 있고 중국신화도 있고 켈트신화도 있고 각 나라별로 자신들만의 신화가 존재하는데도 가장 대중화된 신화이야기는 그저 그리스 로마신화로 인식되어 왔다. 그렇다면 내가 언제부터 신화를 좋아했는지 생각해 보았다. 본격적으로 그리스 로마신화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신일숙의 만화였던 것 같다. (물론 그 이전에도 신화이야기는 관심을 가졌던 것 같은데 신일숙의 아름다운 그림체에 반해 신화를 본격적으로 찾아보았던것 같은데 지금기억도 그저 끼워맞추기 일뿐 근거는 없다. ^ ^ )
<상식으로 꼭 알아야 할 세계의 신화>는 제목처럼 세계의 신화를 총 망라해놓았다. 왜 어릴적 할머니 할아버지가 얘기해주던 옛이야기는 그저 듣는것 만으로 호기심이 생기고 이야기속에 빠져들지 않는가. 신화이야기도 마찬가지이다. 꼭 알아야 할 필요는 없지만 소소히 알고있다는 그것 자체도 재미있지 않는가.
단순히 신화들중 몇개의 신화를 사례들어 놓으것이 아닌 신화가 허구의 이야기에서 그치는 것이 아닌 신화의 어원에서 신화의 특징은 물론 신화의 기원에서 시작하여 각 나라들의 신화들이 영향등 요소요소 삽화와 함께 재미를 더한다.
시작은 우리나라의 신화로 신들의 계보와 더불어 환인 환웅의 창세신화, 가장 재미있고 익히 들어 알고있는 단군신화,단군신화, 주몽의 고구려, 박혁거세의 신라등 건국신화,거기에 무속신화까지 다양하게 눈을 즐겁게 해주었다.
역시 신화하면 그리스 로마신화를 빼놓을수는 없는 법.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물론 눈요기거리도 가장 많고 그러나 그리스 로마신화를 볼때마다 느끼는 점 이름외우기 잼병인 나에게 신들의 이름은 외우기 어렵다는것이다. 그밖에도 서양의 신화에는 이집트, 북유럽, 켈트, 메소포타미아,페르시아 신화로 분류하여 생소한 이야기들로 흥미롭게 만든다.
그리고 동양신화에서 중국은 신화보다는 삼국지, 일본은 무속신앙과 요괴이야기등이 먼저 연상되는데 신화로 보는 각 나라들이 왠지 낯설지 않음은 같은 동양 문화권이어서 일까 친숙하게 다가가왔다.
그리고 마무리는 북미, 중남미,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신화로 세계의 신화라는 제목에 걸맞게 다양한 정보들이 수록되어 있다.
처음 책이 도착하고 포장지를 뜯는순간 '헉! '하는 심각하게 두꺼운 대략 760페이지에 가까운 책의 두께였다. 과연 다 읽을수 있을까. 그러나 장하다. 다 읽었다. 소설책을 읽는 가독성보다는 상식을 배워간다는 생각에 차근차근 읽어나가다 보니 그리 두께감은 느끼지 못하였다. 역시나 가장 흥미롭게 다가온건 그리스 로마신화가 빠졌다면 불가능했겠지만 말이다.
이기회에 더욱더 많은 이야기들을 접해봐야 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