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는 그의 철학의 근간을 착하고 양심적이고 도덕적인 인간이
되기 보다 강하고 우수한 초인(Übermensch)이 되라고 가르친다.
니체가 말하는 위버멘쉬는 종교나 신에게 의지하는 주체성 없는
의존적 인간보다 반복되는 역사 앞에서 굴복하지 않고 허무에
결연히 맞서는 사람이고 덧 없는 삶이 무한히 되풀이 되더라도
자신의 굳은 의지와 참된 용기로 비극적 운명마저도 받아들이고
사랑할 줄 아는 인간이다. 위버맨쉬는 비록 오늘도 불안정하지만
꿈을 품고 앞 날을 향해 떠나는 모두를 지칭한다. 비록 한국어로
초인이라 부르지만 니체가 가리키는 바는 '물리적ㆍ물질적인 힘'을
추구하는 사람이 아니라, '자신이 만든 가치'를 추구하는 사람, 그
'창조적인 힘'으로 끊임없이 몰아치는 가혹한 삶의 고통과 허무를
매번 노래하고 춤추는 마음으로 극복하려는 의지를 가진 사람을
말한다. 즉, 삶이 가혹하다고 해서 이상적인 종교나 도덕, 이념으로
도피하는 것이 아니라, 그 가혹하고 불합리한 삶을 있는 그대로
마주보고 그것을 극복하는 삶에서 의미를 찾는 사람, 심지어 그
고통을 기꺼이 자신의 성장을 위한 자극제로 삼으려는 사람을 말하는
것이다. 이육사의 광야에 등장하는 '백마타고 오는 초인(超人)이
생각난다. 이밖에도 밀란 쿤데라의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카잔차키스의 '그리스인 조르바', 에드바르 뭉크의 '절규'등을 통해
신적 존재의 죽음과 영원 회귀등을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