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군별이 지켜준 인어 장수 - 소년한길 옛이야기 1
김열규 지음, 김상섭 그림 / 한길사 / 2003년 2월
평점 :
품절


우린 나라엔 신화가 없다 라고 얘기하면 바보라고 할 지도 모른다. 왜 우리나라에 신화가 없어? 단군신화부터 시작한 많은 신화가 있는 데 라고 할텐데. 물론 맞는 얘기지만 과연 우리 신화가 얼마나 알려져 있는 지... 가까이는 일본을 비롯해서 서양으론 그리스 로마 신화가 있다. (일본은 자기네 신화를 허무맹랑할 정도로 지어내서 문제점이 많다고 한다)

그리스 로마 신화는 여러 곳에서 펴낸 것이 있는 데 과연 위 신화 책은 얼마나 되는 지 생각해 보면 별로 기억이 없는 것 같다. 아주 어릴 적에 읽어 본 이후로는 말이다. 늘 우리 역사에 대한 생각을 하면서 이상하게 생각했던 부분이기도 하다. 다른 나라 신화들은 자주 읽고 청소년 필독서에 들어 있고 만화영화도 많고, 영화화된 것도 많은 데 말이다.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왜곡된 것들이 아직도 제 자리를 찾지 못하는 데 그 이유가 있는 것 같은 데,,,

김열규라는 저자를 보고 읽게 되었는 데 참 재미있다. 어렵지 않게 풀어서 써주신 신화는 마치 옛 이야기를 듣듯 정겹고 상상의 나래를 펴게 해준다.또한 얘기에 걸맞는 그림이 어울어져 더 읽기에 쉽고 재미있다. 특히 아이들 잠자리에서 한토막씩 읽어 주면 정말 좋을 것 같다. 부모님이 들려 주는 신화는 아이들을 행복하고 즐거운 꿈나라 여행을 안내할 것 같으니 말이다.

다만 조금 아쉬운 점이 있다면 '천하 제일의 명사수'편에서 고구려의 동명성왕과 유리가 활과 돌팔매를 잘 하는 부분을 이야기 함에 있어서 고구려 민족 자체가 동이족임을 강조하면서 그런 나라의 왕과 왕자이기에 더 잘 쏜다고 표현한 부분은 좀 거슬리는 것 같다. 민족의 자질이니 잘 쏠 수는 있지만 왕이나 왕자라서 더 잘 쏜다는 것은 맞지 않는다고 생각한다(아무리 신화라도).

'맨몸으로 강을 건넌 주몽'편 45쪽에서 다리를 설명하는 부분에서 '자라-고기 다리'로 되어 있는 데 보통 고기로 표현하면 소,돼지 이런 고기를 말하는 것이므로 '자라-물고기 다리'로 표현하는 것이 맞을 것 같은 데 저자분은 어떻게 생각하실 지... '신들의 둔갑내기'편 54쪽에서 글은 흰옷으로 되어 있는 데 그림은 글과 다르게 유색옷으로 그려진 것은 잘못되었다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난 이 책이 정말 좋다. 어쨌든 우리 신화를 현재에 맞게 되살려 주신게 너무 좋다. 표현 자체도 말글로 써 주셔서 더욱 좋다. 어른은 어른대로 어린이는 어린이 대로 두루 다 읽어도 재미있고 즐거운 책읽기가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