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화의 기초 - 세기의 전환기
선승혜 지음 / 앤스로디자인 / 2019년 4월
평점 :
품절


책 소개에 나온 딱! 그대로.

"19세기에서 20세기의 시대 변환기의 한국 미술 이론의 기초로서 한국화를 재조명했다. 

한국화의 정체성과 의미를 다시 한번 돌아 본" 이야기로 아주 짧고 간략하게 정리하고 있어한 번에 정리해서 보여준다.

문제는 편집자가 원고를 한 번도 읽지 않은 게 아닐까 하는 의구심이 들 만큼 글이 내용과 달리 조사가 틀린 곳도 너무 많고 그 때문인지 문맥도 맞지 않고 띄어쓰기도 그렇고.

진짜 가독성이 뚝!뚝!뚝! 떨어져 내용에 집중하기 힘들다. 어떻게 이런 상태로 출간이 되었는지, 그림을 설명하는 데 실린 그림 한 장 없는 것도 이해하기 힘들고. 풀이 글을 읽고 상상하라는 건지 당최....다시 잘 정리해서 쓴다면 좋을 것 같다. 

책 종이도 크기에 비해 필요 이상 너무 두꺼운 것은 분량 있어 보이기 위한 것 같은 느낌이 강하게 든다. 내용을 보완해서 만들면 더 좋은 책이 되었을 것 같은데 많이 아쉽다.


"한국화의 형식은 특징이 있다. 재료는 문인화의 전통에서 나온 재료로서 수묵과 종이가 주재료로 인식된다. 문인은 시서화의 일치를 추구하기 때문에 시를 쓰다가 글을 쓰고, 글을 쓰다가 그림을 그리기도 하는 문인의 일상생활 필기도구가 재료가 된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전근대, 근대, 현대를 복합적으로 전시되어, 과거가 현재를 묻고, 현재가 과거를 보는 전시가 기획 될 때, 한국현대미술은 과거와 현재의 'cross-cultural self-identity'를 획득하여 국제 미술계에서 새로운 주목을 받을 것이다."

"한국에서 활동하는 외국인까지 한국화를 그릴 수 있다. 한국에서 조금은 보수적으로 조금은 소극적으로 대했던 한국에서 거주했던 외국인 예술가들에게 영역을 확장되었다. 한국화의 흐름에서 역사적 의미를 부여하자면, 외국인이기 때문에 관심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이 시대를 함께 동시대 예술가이기 때문이다.."

"한국화를 발견하는 것은 내가 누구인가를 묻고, 나를 발견하고, 사랑하는 과정이다. 변화를 두려워 하지 않는 한국, 혹은 사계절의 변화만큼 때가 되면 반드시 변화한다는 반복되는 경험으로부터 인지하는 변화에 대한 믿음으로부터 시작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