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전쟁 - 글로벌 인공지능 시대 한국의 미래
하정우.한상기 지음 / 한빛비즈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날마다 쏟아져 나오는 인공지능 관련 이야기들은 진~짜 많다. 지금 쓰는 있는 휴대폰에도 인공지능이 쓰이고 있고 그 비율은 점점 더 늘어나고 있고 늘어날 것이 확실해 보인다. 우리 삶 속에 얼마나 많은 부분을 차지하게 될 지는 뭐 좀 무서울 정도로.

그런 인공지능이니 현재 어느 정도이고 어느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지 우리한테 끼칠 영향력은 얼마나 될 지 막연히 두려워(SF 영화의 부정적인 면???) 하기 보다는 좀 알면 덜 두렵지 싶고 세상 흐름을 따라 가려면 알아야 할 것 같아서 읽어 봄.

대한민국은 그리 뒤 쳐져 있지는 않지만 앞으로 얼마나 투자를 하고 키우려 노력하는가에 따라 앞으로 나아가갈 수도 버벅대다 뒤로 쳐져 선진 거대기업들의 기술력에 종속될 수도 있다는 이야기.

지금까지는 나름 투자 대비 효율 높은 상황이긴 하지만. 법, 투자, 적극적 활용이 발전시키는 밑거름임을 알 수 있었다.

AI의 현재 상황을 알기 쉽게 잘 정리한 책이라 궁금한 분들으 읽어 보면 좋을 것 같다.


이미지 속에 있는 객체가 개인지 고양이인지 구분하고 인식하는 것이 분류형 인공지능이고, 개나 고양이를 그려내는 것이 생성형 인공지능입니다.”

인공지능이 당신을 대체하지는 않을 것이다. 인공지능을 사용하는 사람이 당신을 대체할 것이다.”

생성형은 데이터를 만들어낼 수 있는 인공지능을 말합니다. 데이터를 입력하고 원하는 과업을 지시하면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리고, 혹은 음악과 영상까지도 만들어내는 인공지능이죠. 컴퓨터 관점에서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이고, 사람이 볼 때는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입니다.”

국제에너지기구의 2021년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데이터 센터에서 쓰이는 전력량이 세계 전력 소비량의 약1.1퍼센트에 달한다고 합니다. 영국의 총 전기 소비량과 비슷한 수치입니다. 다른 보고서에서는 2030EU 전체 전기 소비량의 3.2퍼센트를 데이터 센터 전력이 차지할 거라고도 하고요. 초거대 인공지능의 등장으로 이런 예상보다 소비전력은 더 폭발적으로 늘어날 수도 있다는 전망입니다.”

하정우의 초거대 인공지능을 활용할 때 하지 말아야 할 것 검색같이 정확한 답을 기대하면 안 됨! 정확한 정보는 검색을 통해서 글을 잘 쓰는 인공지능일 뿐 그 글 쓴 내용이 사실이라는 보장을 못함.‘”

사례가 없으면 정부가 지원하지 못하는 것 아시잖아요?”

초거대 인공지능 시대에 중요한 인재의 역량을 오약하면 첫째는 현실의 복잡한 문제를 인공지능을 활용해 풀 수 있는 문제로 분할하고 재정의하는 역량, 둘째는 인공지능을 협업 도구로 인식하고 장단점과 한계점을 명확이 이해하고 활용하는 역량, 셋째는 기본적인 경쟁역이라고 할 수 있는 각자의 해당 분야에 대한 지식과 역량, 마지막으로는 협업과 커뮤니케이션 역량인데요. 인공지능 모두에게 본질을 꿰뚫는 질문을 잘 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이런 역량은 책을 읽거나 유튜브 영상을 시청하는 것만으로는 생기지 않아요. 각자가 실제로 해보고 본인의 생활과 업무에 적용해 봐야 자기 역량이 될 수 있습니다.”

새로운 기술로 만든 제품과 서비스를 먼저 구입해줘야 한다는 것죠. 미국 국방부나 여러 공공끼관에서는 초기 기술들을 많이 활용해주거든요. 정부가 시장이 되어 기업들이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주는겁니다.”

초거대 인공지능은 PC, 인터넷, 모바일 수준을 뛰어넘는 전략기술이 될 것이기 때문에 국가 차원에서 경쟁력을 높이는 게 중요합니다. 당연히 대비책이나 지원책을 만들어야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