퀸의 대각선 2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전미연 옮김 / 열린책들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베르나르 작품이라 간만에 읽었는데 그냥 그렇다. 잘 쓴 이야기이긴 한데...

주인공 여성 둘이 너무 잔인하게 쓰여져서 읽는 동안 편치 않은 기분.


"극장이나 공연장에 갔을 때 출입구에 큰 기둥들이 서 있는 거 혹시 본 적 있어? 화재가 발생해 사람들이 대피할 때 감속 장치로 쓰이게 하려고 일부러 그렇게 설계한 거야.”

게임을 하는 동안은 남에게 밉보일지 모른다는 두려움에서, 그리고 다른 사람들이 우리한테 내리는 가치 판단에 대한 공포에서 해방될 수 있어. 게임에 집중할 때는 유년기의 상처도, 직장에서 받는 스트레스도, 아픈 몸에 대한 걱정도 다 사라져. 오직 게임 그 자체만 남아.”

게임은 어른이 아이처럼 행동해도 되는 최후이 공간이자 유일한 공간이야. 그런 사실이 행복감을 가져다주는 거지. 또한 게임에서는 부당하고 사악하고 잔인한 행동도 얼라든지 허용돼. 그게 어떤 결과로 이어지는 게 아니니까. 게임이 끝나는 순간 모든 게 멈추잖아.”

“<대중의 마음을 사로잡는 방법>이라는 부제가 붙은 이 책에서 버네이즈는 선전 선동에 관한 자신의 철학을 밝혔다. 그에 따르면, 군중은 합리성보다는 충동의 지배를 받는 존재들이다. 민주주의에서는 강요하지 않고도 대중의 의견을 조작할 수 있다. 역지로 강요하기보다 대중에게 영향을 미칠 방법을 찾으면 된다. 그래야 대중이 자기 스스로 한 선택이라 믿게 되고, 집권 세력에 정하하려는 경향도 약해진다.”

일단 공포가 작동하기 시작하면 지성은 무력화되지. 군중은 먼저 행동에 나서는 사람들을 무조건 따라 하게 돼 있어. 군중은 게으르거든. 아무리 어리석은 행동도 그들은 그냥 따라 하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