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현준의 인문 건축 기행
유현준 지음 / 을유문화사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은이는 새로운 공간을 꿈꾸고 만든 1퍼센트의 영감을 가졌던 천재들의 이야기라고 한다.

읽어 보니 왜 천재라고 하는 지 알 수 있는 건축 이야기로 가득한데 참 쉽고 재밌게 읽힌다. 

다정한 물리학에 잔뜩 지쳐 있던 내겐 거의 만화책 만큼 재밌는 건축 이야기이고 사진도 넉넉하게 들어 있어 진짜 술술 넘어간다.

건축에 이렇게 재밌는 속 사정(?!)들이 있는 줄은 생각도 못했는데... 유현준 작가 팬이라면 엄청 재밌을 것이고 건축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건물을 어떻게 지어야 하는 지 그 마음가짐이 어때야 하는 지 알게 된다. 내 집 짓기를 원하는 사람이라면 참고 삼아 읽어보면 진짜 좋을 거 같다.

이미 널리 알려져 알고 있는 것도 있고 처음 만나는 건축물도 있지만 그 배경을 알게 되니 새롭게 느껴져 참 좋다. 진짜 천재들이 만든 건물에 감탄할 뿐이다.

이런 건축물들이 세상에 있게 된 것은 건축가와 건물주, 자금력 덕분이다. 실제로 볼 기회가 있으면 더 좋겠지만 이렇게 책으로 만날 수 있어 진짜 좋았다. 


건축물을 보면 당대 사람들이 세상을 읽는 관점, 물질을 다루는 기술 수준, 사회 경제 시스템, 인간을 향한 마음, 인간에 대한 이해, 꿈꾸는 이상향, 생존을 위한 몸부림 등이 보인다.“

철근 콘크리트 기둥이 만드는 5가지 특징인 필로티, 자유로운 평면, 자유로운 입면, 가로로 긴 창, 옥상 정원을 근대 건축의 5원칙이라 부르고 이것을 르 코르뷔지에가 제창했다.“

건축물의 구조체와 기계 설비를 그대로 드러내 보여주는 스타일을 하이테크 건축이라고 한다.“

퐁피두 센터의 디자인은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는 근대적 건축의 명제를 완전하게 보여 주는 사례다.“

입면에 대각선 보를 놓으면 지진이나 바람 같이 옆에서 오는 횡압력을 견디기 좋은 구조가 된다. 또 고층 건물 내부에 기둥을 줄일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빠르고 쉽게 뉴욕에 친숙해지는 이유는 시공간의 파악이 쉽기 때문이다.“

경사로를 사용하는 이유는 방문객이 자신의 보폭대로 걸으면서 주변 경관을 편안하게 감상하며 건물로 진입하게 하려는 의도다.“

페터 춤토어는 스위스 건축가로, 완성도 높은 건축을 한다. 여기서 완성도란 두 가지 측면을 가르킨다. 하나는 재료의 물성을 잘 이용하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시공의 정밀도.“

잠수교는 한강 물이 조금만 불어나도 물에 잠겨서 건너갈 수가 없다. 이때 잠수교는 미세한 자연의 변화를 공간의 변화로 치환해서 우리가 알아채게 해 주는 장치다.“

원래 인문학적 디자인의 기본은 불편함을 없애고 인간을 널리 이롭게 하는 것이다.“

공중권은 토지와 건물의 상부 공간을 개발할 수 있는 권리로, 나아가 자신이 지을 수 있는 연면적을 다른 사람에게 팔 수도 있는 권리다.“

건축 설계를 하다 보면 끊임없는 문제에 맞닥뜨리게 되는데, 훌륭한 건축가는 그때마다 창의적인 해결책으로 문제를 푼다. 그리고 그 해결책의 결과가 디자인이 된다. 훌륭한 건축가는 그저 직관적으로 아름다운 모양을 만드는 사람이 아니다. 우리가 보는 훌륭한 디자인은 문제 해결의 결과물이다.

건축은 한번 자리를 잡으면 움직이지 못한다. 그렇다 보니 건축물이 있는 그 자리의 지리적 기후적 특징을 반영해서 맞춤형으로 디자인하게 된다.”

인류가 최초로 건축물을 만든 목적이 누군가의 죽음을 기리기 위해서 였다는 점이다.”

훌륭한 건축가는 주변의 좋은 에너지를 잘 이용하고, 더 훌륭한 건축가는 좋지 않은 에너지까지 좋은 것으로 전환한다.”

복잡한 진입로가 만들어진 이유는 역사상 긴 봉건 시대를 거쳐 와 전쟁이 잦았던 일본 사회였기에 적들의 침입을 어렵게 하기 위한 목적이 있으나, 니치케의 말처럼 작은 공간을 크게 느끼게 하기 위한 이유도 있었을 것이다.”

공간은 절대적 물리량이 아니라 기억의 총합이다.”

고인돌처럼 무거운 돌이 높이 올려져 있는 가분수의 거석 건축물은 만든 사람의 권력을 상징한다.”

“HBSC 빌딩은 중앙 빈 공간을 통해서 서로 쳐다보는 소통이 있고, 에스컬레이터로 층 간에 쾌적하게 이동하면서 소통할 수 있고, 1층은 사회적 약자와 소통하는 공간이 있다. 이 모든 것이 가능한 것은 비용을 들여서 1층과 건물 중앙에 공간을 비웠기 때문이다.”

훌륭한 건축은 같은 태양 빛이라도 그 건축물을 통해서 경험할 때 새로운 경지의 경험을 느끼게 해 주는 건축이다. 그런 건축이 만들어지려면 환경과 물질과 현상과 체험자의 심상을 완전하게 이해하고, 조율하는 오케스트라 지휘자 같은 건축가가 있어야 가능하다. 장 누벨은 아부다비 루브르에서 좋은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