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 말리게 시끄럽고, 참을 수 없이 웃긴 철학책 - 혼란스러운 세상에서 논리적으로 생각하는 법
스콧 허쇼비츠 지음, 안진이 옮김 / 어크로스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은이는 누구나 철학을 할 수 있고 모든 아이들은 철학자라고 유치원생들이 로크를 읽지 않고도 철학을 할 수 있다면 우리도 할 수 있다고 한다. 정말일까? 하는 생각을 하면서 읽었는데...

흠~ 법철학자 아빠를 만나서 그런가? 하는 생각도 잠시 했지만 어린이들이 자라는 과정에서 질문을 잘 생각해 보면 반드시 그런 것만은 아니라는 게 내 결론이다. 물론 법철학을 하는 아빠가 던지는 질문과 대답으로 인해 다른 어린이들 보다 생각하는 기술(철학)을 익히는 건 더 쉬웠을거란 생각은 들지만. 

"철학은 생각하는 기술"이라고 하는 데 이 책을 읽은 지금은 인정! 철학만이 그런 것은 아니나 철학이 좀더 깊이 더 넓게 생각하도록 하는 건 맞는 것 같다.

법철학자와 아빠와 두 아이들의 오고가는 이야기 속에 생각하는 방법과 방향이 잘 드러나서 나 역시 생각하는 깊이와 넓이를 더 할 수 있게 되었다. 

철학하면 어려운 철학자들 이름과 이론만 생각나서 두려움(?!)에 떨었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철학에 조금은 가까워진 느낌이다. 여느 다른 책에 비해 철학을 쉽게 풀어 쓰긴 했지만 음~ 자꾸 문장을 다시 읽고 정리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보니 다 읽는 데 거의 2주 정도가 걸렸다.

다른 책들에 비해 많은 시간이 걸리긴 했지만 읽어 볼만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아이들이 철학을 할 때는 가장 상상력이 풍부한 어른도 따라가기 힘들 정도의 참신성과 독창성을 발휘한다.“

아이들은 어리석어 보일 것을 걱정하지 않는다.“

철학은 생각하는 기술이다. 우리는 철학적인 질문을 통해 우리 자신과 세상에 관해 생각하고, 우리 자신과 세상을 더 잘 이해하려고 노력하게 된다.“

아이들을 위해 문제를 해결해주려고 하지 말고 아이들과 함께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다.“

우리는 모든 사람의 가치가 동등하다고 말하는 사회에 사회에 사는 것에 감사해야 한다.“

어떤 행동의 도덕성은 그 행동이 전하는 메시지를 통해 판단할 수도 있다. 입으로는 똑같은 말을 했을지라도, 자신을 지키려고 그 말을 하는 것과 다른 사람을 깍아내리기 위해 그 말을 하는 것 사이에는 하늘과 땅만큼의 차이가 있다.“

나는 많은 사람들이 법원에 갈 때 그런 것을 바란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보상이 아니라 옹호를 원한다. 그들이 억울한 일을 당했고, 그들에게는 그런 대우를 받지 않을 권리가 있다는 것을 법원이 확실히 해주기를 원한다. 그리고 그 과실이 중대한 사건이라는 점을 명확히 해주기를 원한다.“

우리는 불가항력적으로 범죄를 저지른 사람들을 처벌하지 않는다. 우리는 더 나은 행동을 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만을 처벌한다.“

엔터슨은 사람들이 상호작용하는 가장 억압적인 권위자는, 정치 권력이 아니라 그들의 고용주라는 사실을 일깨운다.“

홉스의 주장에 의하면 자연 상태에서의 인간의 삶은 고독하고 가난하고 불결하고 잔인하고 짧다’“

욕으로 쓰이는 단어들의 문제는 그 단어들 자체가 아니다. 문제는 그 단어들이 보내는 신호에 있다. 단어들이 나쁜 신호를 보내지 않는다면 입에 담지 말아야 할 이유가 없다.“

우리는 모두 성차별에 동참하고 있다. 우리 모두 성 고정관념에 의해 결정된 역할에 깊이 몸을 담그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우리 모두 그 역할에 순응해야 한다는 압력을 느끼기 때문에 우리 모두 성차별로 고통받는다.“

어떤 사람들은 섹스와 젠더를 같은 뜻으로 사용하지만, 사실 이 두 단어의 의미는 동일하지 않다. 젠더는 생물학적 성이 아니라 사회의 역할에 따른 성이기 때문이다.“

흑인 문화가 아름다운 이유는 그 문화가 억압에 대한 반응이면서, 억압을 초월하려는 움직임이기 때문이다.“

법학에는 전통적이고 보편적인 법률의 원칙이 하나 있다. ‘이득을 누리는 자는 빚도 감당해야 한다. 혜택을 입는 사람이 책임을 져야 한다는 뜻이다.“

배상은 관계의 회복을 목표로 해야 한다는 것이 프라이어의 주장이다. 배상의 목표는 흑인들이 동등한 대우를 받고 백인들과 똑같은 자유를 누리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어야 한다.“

우리는 합의에 이르지 못할 수도 있다. 하지만 합의가 곧 진실은 아니다. 그리고 의견의 불일치가 진실의 부재를 의미하지도 않는다.“

우리가 철학과 과학을 별개의 학문으로 인식하는 주된 이유는 사용하는 방법론이 다르기 때문이다. 물론 과학자들도 철저한 사색을 한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세상을 탐색하기 위해 관찰과 실험이라는 방법도 사용한다. 철학자들의 도구 상자에도 관찰과 실험이 들어 있긴 하지만, 철학자들은 관찰과 실험이라는 도구를 상대적으로 적게 사용한다. 철학자들의 관심을 끄는 질문들은 대개 실험으로 대체될 수 없는 것들이다.“

도덕적인 용기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스스로를 대단하지 않은 존재로 바라봐야 한다. 자신에게 일어나는 일은 그리 중요하지 않다는 사실을 머리로 아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지금 우리가 두려움과 자기애들 느끼는 것처럼 그걸 느낄 수 있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