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쇳밥일지 - 청년공, 펜을 들다
천현우 지음 / 문학동네 / 2022년 8월
평점 :
실제 용접을 업으로 살아 온 글쓴이의 살아 있는 경험으로 쓰여진 이야기로, 글을 그림 그리듯이 써서 눈 앞에 그 하나하나가 보이는 듯하다. 대기업 하청업체 직원들의 상황을 뉴스나 티비에서 볼 수 있었지만 이렇듯 눈 앞에 보여주지는 못했는데 덕분에 일하는 환경, 급여, 고용 문제 따위 실체를 좀더 잘 알 수 있게 되었다.
4차 산업혁명, AI, IT세상이라 말하지만 어떤 기반 위에 놓여 있는 지, 지금 대한민국 부의 축적이 누군가의 희생을 깔고 있는 지 반드시! 기억하고 우리 모두가 살기 좋은 세상을 만들어야 하리라.
"단지 능력껏 대우 받는 사실 하나 만으로 하루하루가 신났다."는 글쓴이의 말이 아프게 다가온다. 너무나 당연한 일인데...
글쓴이의 바램 처럼 누군가를 떨어뜨리는 삶이 아닌, 손잡고 나아가는 세상이 되면 좋겠다.
"단지 능력껏 대우 받는 사실 하나 만으로 하루하루가 신났다."
"사교육과 대학 서열화는 결국 인간의 욕망과 그 욕망의 소산물인 돈이 만들어낸 결과물. 평등과 이해는 돈이 되지 않는다. 돈이 안되니 가르치지 않는다. 학생들은 자연히 자신의 욕망 외 다른 가치를 모른 채 어른이 된다. 현대 대한민국 사회는 이런 악순환의 굴레 속에 서 만들어졌다."
"중요한 것은 지금 이 시대에서 일어난 분노의 본질, 평등을 향한 갈망 아닌가. 우리는 언제든지 경쟁의 절벽에서 떨어질 수 있는 삶을 산다. 누군가를 떨어뜨리는 삶이 아닌, 손잡고 나아가는 세상을 모두가 바랄 때 비로소 세상은 바뀐다."
"아버지는 딱 여섯 가지 원칙만 지키며 살라고 하셨다. 그 원칙이 뭐였는가 하니, 일과 놀이를 철저히 분리한다. 평소 근력 운동과 달리기를 병행한다. 노는 날과 금액 한도를 정확하게 정한다. 책임지지 못할 잠자리는 절대 가지지 않는다. 지금 이 순간을 매일 누릴 수 없다는 것을 생각한다. 잘 하고 싶은 분야를 정해 계속 공부하고 발전시켜 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