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얼빈
김훈 지음 / 문학동네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중근이란 이름 석자는 대한민국 사람들 머리 속에 깊이 새겨진 이름이 아닐까? 

이 책을 읽은 분들이 어떤 생각을 했을 지 모르지만 안중근 그분 자체만으로 보면 참으로 대단한 아무나 할 수 없는 일을 하신 분이다. 이런 분들이 계셔서 지금의 대한민국이 있기에 진심으로 온 마음으로 고마울 뿐이다. 입장 바꿔 생각해 보면 난 아무 것도 못했을거라는 걸 느끼기에.

책을 읽는 동안 내린 결론은 안중근 그분만이 아니라 그분의 부모님, 형제들, 부인 그리고 자녀.

이분들 또한 대단한 분들이라는 생각을 했다. 남편 없이, 아버지 없이 살았을 그분들의 고단한 삶.

그 모든 분들의 희생 위에 우리가 살고 있다는 것을 다시금 깨닫게 되고 정말 잘~ 살아야겠다는 마음을 먹게 한다. 내용 자체가 엄청나게 소설스럽게 쓰여지진 않았지만 그저 담담한 목소리로 지나온 이야기를 듣는 느낌이었다.


"아버지가 죽자 아들이 태어나는 질서는 삶과 죽음이 잇달음으로 해서 기쁘거나 슬프지 않았고, 감당할 만했다. 모든 죽음과 모든 태어남이 현재의 시간 안에 맞물려 있었다."

"하얼빈역 구내에서 철도는 여러 갈래로 겹쳐 있었다. 바이칼호수에서 오는 철도가 하얼빈역에 닿고,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오는 철도가 하얼빈역에 닿았다. 평양에서 오는 철도와 대련에서 오는 철도가 하얼빈역에 닿았다. 북태평양과 바이칼이 하얼빈에서 연결되었고 철도는 하얼빈으로 모여서 하얼빈으로 흩어졌다. 하얼빈역에서는 옴과 감이 같았고 만남과 흩어짐이 같았다."

".....이토의 나라는 대련을 쳐부수어서 차지했고, 대련을 발판으로 하얼빈으로 진출했다. 하얼빈역 플랫폼은 내가 이토를 쏘기에 알맞은 자리고, 이토가 죽기에 알맞은 자리다. 

.....나는 이토가 온 철도를 거슬러 가고 있다. 대련은 이토의 세상이다. 대련은 내가 말하기에 편안한 자리이고 내가 죽기에도 알맞은 자리이다."

"이 세상의 배운 자들이 구사하는 지배적 언어는 헛되고, 또 헛되었지만 말쑥한 논리를 갖추어서 세상의 질서를 이루고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