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픈 세상의 기쁜 말 (리커버 에디션) - 당신을 살아 있게 하는 말은 무엇입니까
정혜윤 지음 / 위고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개인적으로는 우는 것을 꺼려 하는 사람인데 이 책을 읽으면서는 9.11 테러와 세월호 사건이 관련된 "유리창"을 읽으면서는 당시 상황들이 떠올라 가슴이 뻐근하고 눈물이 났다. 깨져야 했을 유리창과 깨어지면 안되는 유리창 이야기이기에.

더구나 그 이야기 끝에 이어지는 이태원 참사. 왜 자꾸 이런일이 반복되는 지...

절대 일어나서는 안될 일들이 거듭 되풀이 되는 것에 너무 미안하고 죄스러운 마음 뿐이다.

미국 소방관 오리오 파머에게서 우리는 배워야 한다. 어른은 어때야 하는 지.

앞으로는 건강한 환경과 사회를 만들어주는 데 힘써야 할 것 같다.

출판사들이 책을 만드는 데 있어 자연을 생각해 주면 좋을 것 같다. 260쪽인 이 책을 만드는데 정말 이 두께의 종이를 꼭! 써야 했는 지 궁금하다. 왜?


"살아있는 자들이 진정으로 알고 싶어 하는 유일한 것은 자신의 미래다. 진정으로 만나고 싶어 하는 것은 좋은 미래다."

"어부는 사람에게는 함께 살 몸이 필요하지만 만약 슬프게도 그 몸이 없다면, 함께 살 영혼이라도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어부에게 '어떻게 살 것인가?'는 '어떻게 죽을 것인가?'와 같은 말이었다. 삶과 죽음, 그 사이에 펼쳐진 것은 고통과 사랑의 이야기다."

"인간도 옷처럼 때때로 세탁소에 가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가 택한 자신의 세탁소는 바다였다."

"인디언들은 카누를 만들고 열흘 동안 바다에 띄우지 않는다. 이유는 삼나무의 독성이 물고기들에게 좋지 않으니까."

"재난 참사로 가족을 잃는다는 것은 인간이 맨정신으로 겪을 수 있는 일이 아니기 때문에 유족들은 '당신도 겪어보세요'가 아니라 '당신은 겪지 마세요'라고 말한다. 이것이 '다시는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의 의미다."

"빛이 안나도 괜찮아, 하지만 따뜻해야 해"

"행복은 어떻게 정의하든 행복한 이야기가 많다는 뜻이다."

"우리는 현재와 미래를 연결하는 능력을 거의 바닥까지 상실한 듯이 살고 있지만, 시간 속의 존재임을 잊고 살지만, 그렇기 때문에 더더욱 스스로를 시간의 맥락 속에서 봐야 한다. 우리 인간은 과거를 기억하고 미래를 계획하면서만 질서를 잡고 살 수 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