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움받는 식물들 - 아직 쓸모를 발견하지 못한 꽃과 풀에 대하여
존 카디너 지음, 강유리 옮김 / 윌북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농학자가 쓴 책으로 익숙하거나 재미있는 주제는 아니지만 읽어 볼만한 내용이다. 단, 내용이 아주 자세히 적혀 있어 중간에 읽는 탄력이 좀 떨어질 수 있다는 것. 그래서 난 다른 책과 섞어서 읽어 오늘에야 책을 다 읽을 수 이이 책을 읽는 동안 윤구병님의 "잡초는 없다"라는 책이 생각났다. 잡초에 대한 생각이 같으므로. 

잡초란 한마디로 욕심 많은 사람들 중심 사고라는 것을.

사람들의 필요에 따라 잡초가 되기도 하고 유익한 식물이 되기도 한다는 것.

자연이라는 테두리 안헤서 사람이나 잡초나 지위는 같은 데... 잡초들에게 묻는다면 어이 없어 할 기준이라는 것. 다같은 생물인데 사람을 제일 높은 곳에 놓고 필요에 따라 좋은 식물이 되기도 하고 필요가 없어지면 잡초로 분류해서 그야말로 뭇죽여 안달이니 말이다.

갈수록 사람이 스스로를 위해 만들어내는 것들이 가깝게는 도움이 되나 조금만 멀리 생각하면 결국은 사람을 해치는 것으로 되돌아 오는 형태를 보여 무섭다.

그래서인지 또 다른 책이 하나 생각난다. 곽재식님의 "지구는 괜찮아, 우리가 문제지"

자연과 더불어 잘 살려면 어떻게 살아야 할 지 또 생각하게 된다. 에고 쉽지 않네.ㅠㅜ


인간은 본의 아니게 식물의 특정 형질이 진화하고 살아남는 방향으로 선택압을 행사했다. 식물은 인간 없이 잡초가 될 수 없고, 인간은 잡초 없이 지금의 인류가 될 수 없었다.“

식물은 인간의 가치 기준에 따라 잡초가 된다. 인간의 가치 기준이란 경제적 이익, 아름다움에 대한 인식, 사회 규범 등을 의미한다.“

식물은 주변 환경을 감지하고 유전자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함으로써, 조건에 따라 적응하고 살아남는다.“

사람들을 정착하게 하고, 밭에 지속적인 관심을 쏟도록 한 것은 작물이 아닌 잡초였다. 잡초가 인간을 길들인 것이었다. 얌전하게 자라는 농작물과 달리, 잡초는 내키는 대로 싹을 틔우고, 농작물에 가야 할 양분을 빼앗았으며, 자기 씨앗을 인간이 거두어가도록 기회가 닿는 대로 씨앗을 퍼뜨려서 이익을 독차지했다.“

잡초는 장점이 아직 발견되지 않은 식물일 수 있다.“

잡초 제거 앞에서는 누구도 건강이나 환경에 끼칠 수 있는 위험을 깊이 생각하지 않았다.“

농업이 있다면 잡초도 있다.“

작물 재배는 더 이상 땅을 보살피는 농부의 일이 아니라 기술, 수익, 주주 만족을 의미했다.“

대안 농장이나 유기농 농장에서 사용하는 경운, 윤작, 덮개 작물 등의 농법에 망초나 다른 잡초가 저항성을 발달 시켰다는 사례는 없었다.“

비름은 주요 잡초 중 처음으로 제초제 저항성을 발달시켰다. 제초제를 뿌려도 죽지 않는 유전자가 살아남아 번식하고 대물림되었다.“

인간은 수천 년 동안 식물과 상호작용하며 잡초의 탄생과 진화에 동반자 역할을 해왔으면서도 이 본질을 받아들이지 못했다. 인간은 그토록 영리한 존제이면서도, 새로운 관점을 취하고 목표를 바꾸고 연관 관계를 파악하고 자연의 유지 능력을 이해하고, 그러한 인식 아래 다른 방식으로(잡초와 더불어) 살아갈 방법을 찾을 생각을 전혀 하지 않는다.“

한때는 지역마다 고유한 생태계가 자연스럽다고 여겨졌으나 이제 생태계 변별성은 희미해졌다.“

잡초가 그냥 식물이 아니듯이 기후 위기는 그냥 날씨 변화가 아니다. 그것은 자연에 있는 자원을 끊임없이 뽑아내고 성장할 것을 요구하는 인간 주도적 세계경제의 결과물이다. 이 시스템의 기득권자들은 더 많은 지구의 자원을 요구한다. 기회, 발전, 진보는 얼마나 좋은 동기에서 비롯도었든 자연 경시로 이어진다.“

"화학 농법과 유전자변형 작물을 쓰면서 제초제 의존성이 더욱 높아졌다."

"잡초는 인간이 그 식물들의 환경을 교란하고 다른 곳으로 옮겨놓고 경쟁 식물을 없애고 자원에 변화를 주고 그들 가까이 접촉할 때 발생한다."

"인간이 상호작용하며 운송, 판매, 공유, 수정하고 물 주고 돌보고 길러온 종들을 경계해야 한다. 즉 실용적 혹은 정서적 면에서 사람의 이목을 끌고 관심을 호소하는 식물들을 조심해야 한다. 식물은 호감을 얻는 쪽이든 경멸을 받는 쪽이든 인간의 개입에 따른 환경 변화에 대응해 진호하고 달라질 것이다."

"잡초는 인간 본성이 식물에 표출된 결과이다. 식물과 인간 사이에서 예로부터 지금까지 이루어진 상호작용의 결과이기 때문에 잡초화 패턴은 끊임없이 되풀이된다. 새로운 작물 생산법이 등장하면 새로운 잡초가 등장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