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딘가에는 싸우는 이주여성이 있다 어딘가에는 @ 있다 시리즈
한인정 지음 / 포도밭출판사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접하는 뉴스에서는 좋은 이야기는 별로 없다. 늘 자극적이고 좋지 않은 이야기들이 알권리하면서 떠들어 댄다. 그것이 어떤 사람들에게는 상처가 되고 올가미가 된다는 것을 잊어 버린 채.

어릴 적 학생 시절에 우리 나라가 단일민족이라고 하는 데 이해 하기 어려웠다. 시도 때도 없이 중국, 일본 나중에 미국 같은 나라들에 지배를 받았는 데 단일민족이라니... 그게 타당한가 라는 생각을 많이 했었다. 

지난 일은 지난 일로 떠나 보내고 요즘은 지구촌이라는 말을 다들 사용하는데 뭘 인종이나 국적이 다르다고 차별을 하는 지...

뭐 그저 생각해도 지금 세계 각국으로 나가 살고 있는 우리 나라 교포들만해도 차별 당하고 산다는 것에 격분하면서 왜 우리 나라에 잘 살아보려고 온 사람들에게 똑같은 아픔을 주는 지....

그냥 다같은 사람인데 문화, 역사, 말 같은 것이 다를 뿐인데. 같이 잘 살아보자고 온 사람들한테 한국사람에게 보다 더 많은 배려와 지지를 해줘서 함께 살아가야 하지 않나?

모든 이주 여성이 문제가 있는 것도 아닌데 뉴스로만 접하는 사실이 전체인양 생각하지 맙시다.

다문화가족들에 대한 정책도 더 많이 활발하게 만들어져야 하고 어린이들이 한국인으로 또 하나의 조국을 더 갖는 것에 대해서도 인정하고 받아들여야 다같이 살기 좋은 나라가 되지 싶다.


새로운 환경이지만, 자신의 삶을 바꿔나가기 위해 무급노동인 가사노동, 출산과 육아, 시부모 모시기, 가내노동(농사)을 수행하며, 동시에 생계비를 벌어오는 역할도 수행한다. 그야말로 잘 살아보겠다는 기획을 누군가에게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개척하는 생존자가 되는 셈이다.“

이주여서은 다문화가족의 일환이다. 다문화가족이란 말 그대로 다양한 문화가 섞여 있는 가족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주여성들은 자신들의 생활이 다문화가족의 생활이 아니라고 말했다. 자신이 자라온 문화, 언어, 전통을 모두 버리고 한국문화에 동화되도록 강제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이 과정에서 이주여성에게 동화에 대한 설득과정은 존재하지 않는다.“

당당하고 동등한 부인이 되려고 가사일도 도맡아서 하고 생계도 책임지지만 가정 내에선 언제나 뭘 모르는 사람취급을 받는다는 것이다. 인터뷰 속 이주여성들은 말하길, 대부분의 다문화가정이 아내가 버는 돈으로 생활비를 지출하고, 남편의 수입은 아내에게 알려주지 않는다고 말했다.“

대부분 이주여성들이 국제결혼과정에서 일정 금액을 받지만 이는 사실상 서류 준비 비용 정도의 약소한 금액이라는 것이다. 실상 중개업소가 대부분 가져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것. , ’돈 몇 분에 시집온 것이 아니라 한국에서 잘 살아보려는 꿈과 희망을 가지고 들어온 것이라는 이야기다.“

이주여성들은 도망치는 이주여성을 볼게 아니라 도망칠 수 밖에 없는 이주여성을 보라고 강조했다. 이주여성의 외출을 제한하거나, 경제적으로 방임하거나, 가정폭력을 하는 경우들이 도망의 근본원인이라는 이야기다.“

튀기라는 말을 썼는데 나쁜 말이잖아요. 당나귀랑 소 사이에서 나왔다는 거고 그럼 우리가 인간이 아니라는 말이잖아요.“

이주민이 가족이라는 범주 바깥에서도 안전하고 질 높은 삶을 향유할 수 있는 원스톱 지원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이야기이다.“

인구가 줄어들고 노동자가 감소하는 농촌의 미래에 이주민 복지는 미래를 위한 투자입니다. -탄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