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순 살, 나는 또 깨꽃이 되어 - 이순자 유고 산문집
이순자 지음 / 휴머니스트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순자님, 일흔은 이른 나이로 여기며 지금껏 이룬 것보다 앞으로 나아갈 길을 행복하게 꿈꾸셨다는 청각 장애의 경계에서 평~~~생을 열심히 살아 오신 분.

그분이 나이 예순에 자신의 삶을 살아 온 이야기가 몽글몽글, 폭신폭신 느껴지는 내용이다.

매일 새롭게 어려운 노년의 일상이 담백하게 젹힌 글로 처음 글을 읽으면서는 험하고 험한 세상살이에 얼마나 힘드셨을까 하는 마음에 가슴 한 켠이 아리기도 했지만 스스로 힘있게 두 발을 딛고 자신의 삶을 살아내신 걸 읽으니 반성이 된다.

"이에 시작이다. 정진하리라, 죽는 날까지' 본인이 원하는 대로 충실하게 살아내신 분의 이야기가

앞으로 나는 어떻게 살아야 후회 없는, 나름 잘 살아냈다는 자기만족을 할 수 있을까 하는.

난 도무지 따라 갈 수 없을 것 같은 그분의 아름다운 삶이 다른 분들에게도 전달되고 공유되고 실천하는 방향타였으면 좋겠다.


자식들에게 호상이란 있을 수 없지만, 남은 이들의 손에 조금의 수고도, 애태우는 시간도 안겨주지 않으려던 어머니께서 당신의 죽음을 얼마나 감사해할지 알았기 때문입니다.”

장애는 마음을 나누고 관계를 맺는 데에 아무런 걸림돌이 되지 않았고, 어머니는 이를 삶으로 보여주셨습니다. 덕분에 저는 배울 수 있었습니다. 고통과 한계는 흔히 한 존재에 깊은 상처를 남기지만, 이를 용기 있게 마주하는 사람은 자기 안에 상처마저 잘 녹이고 곰삭혀 사랑으로 내놓는다는 삶의 진실을요.”

"고통을 겪는 사람에게는 쓸데없는 위로의 말보다는 침묵하며 같이 아파해주는 것이 필요했다."

길의 끝에서 돌아서면 바로 길의 시작

김대규 시인의 사랑의 십계명 계산하지 말고, 후회하지 말며, 되돌려 받으려 하지 말고, 조건을 달지 말며, 다짐하지 말고, 기대하지 말며, 의심하지 말고, 비교하지 말며, 확인하지 말고, 운명에 맡겨라.”

서로 안 맞는 결혼 생활로 인생을 불행하게 사는 것보다는 이혼을 택할 수도 있다. 처음과 같은 마음으로 살지는 못하더라도 잘 살아보고자 노력하는 것만큼 잘 헤어지는 것도 중요하다. 헤어진 후에도 서로를 존중과 배려의 시선으로 보아야 한다. 나도 귀하고 너도 귀한 그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혼이 결혼의 끝이 아니기 때문이다. 특히 자녀가 있으면 더더욱 무 자르듯이 끝낼 수 없다. 살아서도, 아니 죽어서도 부모와 자식의 관계는 끝나지 않는다.”

사람의 생김이 다 다르듯 삶의 형태도 다 다르다. 각기 다른 삶을 엿보는 게 문학이 아닐까.”

부모와 함께 사는 아이들은 좀 부실하게 먹어도 괜찮다고, 자신이 데리고 있는 아이들은 부모 사랑르 못 받아서 좋은 것 많이 먹어야 가슴이 채워진다고, 먹는 거라도 좋은 것을 먹어야 한다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