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마빌딩 건축 실전 교과서 - 건축회사에 기죽지 않는 건물주를 위한 계약·설계·기초·골조·설비·마감 일정별 실전 건축 가이드 지적생활자를 위한 교과서 시리즈
김주창 지음 / 보누스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래된 집에서 살고 있다 보니 여기저기 손 볼 곳이 자꾸 생기고 해서 어떻게 해야 하나 싶은 마음에 쪼끔이라도 알아야 할 거 같아서 읽었는데..... 마음 다잡고 제대로 공부를 하면 정말 도움이 많이 될 내용이 그득~ 하다. 이 분야로는 정말 무식한 나로서는 결코 쉽지 않다. 한 번 읽는 것도.

기억해야 할 다시 말하면 외우고 있어야 할 내용은 겁나 많은 데. 그것이 참....

 

꼬마빌딩을 짓기 위해서 땅 보는 것부터 마지막 완공까지 순서대로 이론과 사진을 통한 눈으로 알 수 있도록 잘 짜여진 내용이다. 놓치기 쉬운 것, 건축주가 해서는 안 되는 일들과 곡! 해야 할 일들이 알아 보기 쉽게 잘 정리해서 보여주고 있어 짓고자 하는 사람들에겐 정말 도움이 되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 나는 그냥 지어진 집 중에서 맘에 드는 걸 사는 걸로.

알아야 할 것도 너무 많고 챙겨야 할 일도 너무 많아서 머리에 다 들어가지지가 않는다. ㅠㅜ 

그래도 내 원하는 집을 짓길 원한다면 반드시 읽어 보길 권한다. 건축학 전공자가 아니라면 여러번 숙독할 것을.

 

"건축주 입장에서는 건축가에게 설계를 의뢰할 때, 실시 설계도면까지가 아닌 사용 승인 도면까지 계약 사항으로 기재하는 것이 좋다. 추후 발생하는 추가 도면에 대한 추가 설계비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설계 계약시 사용 승인 도면까지 발생하는 비용을 지불하고 설계 계약을 하는 것을 권한다."

"도면을 보면 이름 옆에 원이 그려져 있다. 원 안에 'A'는 건축 설계 도면, 'S'는 건축구조설계도면이고 설계도면은 배치도, 평면도, 단면도, 입면도로 나눌 수 있다."

"땅의 가치는 건축물을 얼마나 넓고, 높게 지을 수 있는지에 따라 다르게 평가된다. 똑같은 주거지역이라도 전용주거지역, 일반주거지역, 준주거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고, 북측 땅과 남측 땅의 차이(일조사선이 적용되는지의 여부)가 있다. 이외 땅 모양, 도로면과 접한 형태, 지역 특성 등 큰 양항을 주는 다양한 요소가 있다. 땅의 가치란 한마디로 건축물을 효율적으로 잘 지을 수 있는 땅인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건축가, 건축사(건축설계사), 시공사"

"건축비가 평당 얼마에요? 라는 질문 보다는 '건물을 100평으로 지으려고 하는 데 평당 600만원에 지으려면 어떤 식으로 지어야 하나요? 라고 질문하는 것이 더 현명한 질문이다."

"본인이 원하는 건물을 찾으면 건축물대장을 발급 받으면 서류에 설계사, 시공사, 감리사가 적혀 있다. 그 이름을 인터넷에 검색하면 전화번호와 주소가 나올 것이다."

"기본 설계와 실시 설계:기본 설계란 허가를 받기 위한 기본 설계도로 건축물 개요, 평면, 입면, 단면, 배치를 결정한다."

"설계 과정에서 건축주가 봐야 하는 서류는 설계 도면 이외에도 계산서, 시방서, 수량산출서, 공내역서 등이 있으며 이를 설계도서라고 한다."

"건물 공사의 우선 순위 : 구조(안전) - 물(누수) - 배관(순환) - 단열(열)"

"철근에는 1.5m 간격으로 숫자, 기호와 함께 제조국과 제조사, 강종이 명시되어 있다. 가장 처음에 쓰인 알파벳은 원산지, 그 다음은 제조사를 나타낸다. 다음에 쓰인 숫자는 철근의 지름을 나타내면 마지막 각인 또는 숫자는 철근의 강도를 나타낸다."

"단열재 두께는 미국 에너지부의 자료에 따르면 단열 효과가 높아지는 최대 두깨는 17Cm이다. 그러니 17Cm 이상의 두꺼운 단열재는 사용할 필요가 없다. 그 이하의 질 좋은 단열재를 선택하면 된다."

"화장실 타일을 본드로 접착할 때는 세라픽스 본드가 아니라 물에 강한 드라이픽스 본드를 사용한다."

"토지이용규제정보 서비스 luris.molit.go.k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