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등 굽은 정원사 - 굽은 소나무, 기근에 허덕이는 백성을 구하다, 대한민국 콘텐츠 대상 최우수상 수상 케이팩션 3
천영미 지음 / 고즈넉이엔티 / 2021년 7월
평점 :
품절


조선의 등 굽은 정원사.... 참 이름부터 매력적이다. 과연 조선의 등 굽은 정원사가 하는 일은 뭘까? 하는 생각을 했는데... 한 번 손에 들면 다 읽을 때까지 손에서 떨어지지 않는다. 태어날 때부터 굽은 등으로 태어난 양반집 자손 허은수, 외할아버지의 누명으로 몰락한 양반가 허은수의 아내 최아영, 천민 출신 의원 전순의. 이 세명의 구부러진 삶이 세종대왕을 만나서 백성들을 위해 어떤 일을 하고 어려움을 헤쳐나가는 지 아기자기하고 재밌게 쓰여있다. 처음 시작은 구부러져 천대 받는 소나무로 장애를 가진 주인공과 교감하면서 함께 살아가는 모습이 꽤나 인상적이다. 다른 사람의 시선에선 별볼일 없는 그 세 사람의 역량을 알아 보고 제대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물심양면 지원을 해서 결국은 백성들을 위한 일을 하고야마는 세종대왕까지. 구부러진 삶이 될 수도 있는 사람들을 제 능력에 맞게 쓰이므로 어떤 성취를 이루는지 잘 나타내고 있다. 더운 여름에 시원하게 읽을 수 있는 재밌는 책이다.

 

"사람들은 알까? 그들이 손쉽게 베어가는 나무들이 실상은 주어진 생(生)울 설어냐가 위해 격렬하게 몸부림치고 있다는 것을. 그들은 알까? 울창한 숲의 시작은 생을 포기하지 않는 작고 여린 씨앗이라는 것을."

"쉬지 않고 하루하루를 살아내는 나를 향해 '푸르른 잎'만 칭송하는 사람들이 역겹다. 푸름만 보는 그들의 눈에 냅다 송방울을 던져 한 방 날리며 외치고 싶다. '그 푸르름은 바로 내 전 존재를 바쳐 지켜내고 있는 생명력이라고'"

"왕은 면류관을 쓸 때마다 그 앞뒤로 길게 늘어져 잘그랑거리는 옥구슬을 좋아했다. 왕은 악을 보지 말라는 옥구슬의 뜻을 마음에 새겼다. 왕은 간신들의 감언이설에 눈과 귀를 막는다는 면류관 좌우에 드리워진 솜뭉치의 뜻을 마음에 새겼다. 왕은 구장복 위에 수놓아진 아홉가지 문양을 바라보며, 자신이 왕으로서 갖춰야 할 덕목들을 되새겼다."

"벗이여, 저들이 덩굴처럼 악력을 써서 높이 오르고자 할 때, 그대는 나무처럼 깊이 뿌리내려 오랜 세월을 견뎌내길 간절하게 바라네."

"생존을 위해 나무가 필요로 하는 두 가지는 위로부터 스며드는 빛과 아래로 흐르는 물이다. 빛을 찾아 높이 자라면서도, 동시에 물을 찾아 아래로 깊숙이 향하는 것만이 살 수 있는 유일한 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