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킨
옥타비아 버틀러 지음, 이수현 옮김 / 비채 / 2016년 5월
평점 :

타임슬립을 소재로 한 드라마, 영화, 책 등 다양한 이야기들이 많아지면서 간혹 친한 사람들끼리 과거의 시간으로 돌아간다면 하는 이야기를 나눌 때가 있다. 지금이 가진 안정적인 생활이 좋지만 그래도 다시 돌아간다면 아쉬움이 나는 시간으로 돌아가 다른 모습으로 살았다면 현재는 어떤 모습일까? 하는 꿈같은 이야기를.... 자신이 원하지 않았던 끔찍하던 역사속 시간으로 과거 여행을 한다면 엄청나게 힘들 거 같다. SF 작가란 이름으로 알려진 옥타비아 버틀러의 대표작 '킨'은 1976년 6월 스물여섯 생일을 맞은 흑인여성 '다나'가 남북전쟁이 일어나기도 훨씬 전인 1815년 남부 메릴랜드 주의 숲 속에 시공간을 초월한 이야기로 시작된다.
다나는 강에 빠진 남자아이를 구해낸다. 구해낸 남자아이를 보고 소년의 어머니는 소리를 지르고 다나는 위험에 빠진다. 인종차별이 많이 사라졌다고 하지만 여전히 미국 내에서도 인종차별은 존재하는데 흑인노예를 짐승처럼 대우하던 남부 백인여성의 눈에 주변에서 흔히 보던 흑인여성들과 분명히 다른 복장과 말투를 가졌지만 낯선 흑인여성이 의식을 잃어버린 자신의 아들과 함께 있는 모습에 경악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다나는 어린 소년을 구해내자 바로 생명의 위협에 놓이지만 다행히 자신의 집으로 돌아온다.


보고도 믿기 힘든 상황... 당사자 다나도 자신이 겪은 일을 믿기 힘든데 그녀가 사라지고 다시 나타나는 상황을 본 약혼자 케빈 역시 이 모든 것이 거짓말 같은 현실에 다나를 잃을까봐 두려운 마음마저 든다. 자신이 구한 소년이 위험에 또 다시 처하자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또 다시 과거로 타임슬립을 하는 다나... 분명 소년 루퍼스와 연관이 있으며 연결고리에 필요한 인물도 있다는 것을 느낀다. 흑인여성이기에 우선 몸을 숨기려던 다나는 끔찍한 현장을 목격하고 그 과정에서 연결고리가 되는 인물과 만난다.
자신이 살던 시대에선 너무나 당연했던 것들이 과거에서는 목숨을 걸어야 하는 상황이라면 얼마나 무섭고 두려울지 다나의 마음이 충분히 이해가 된다. 마음대로 과거와 현재를 오고가는 것이 아니기에 자신이 있는 곳에서 살기위해 최선이라는 느껴지는 선택을 하는 다나... 다나란 인물의 특수성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인물들은 불편하기만 하다. 자신의 힘 안에서 통제하고 싶어 하고 통제를 다나는 거부할 수 없다.
오늘과 어제가 맞물리지 않았다. 처음으로 루퍼스에게 돌아갔을 대만큼이나 낯선 기분이었다. 루퍼스의 집과 내 집 사이에 낀 기분. -p218-
'사람을 노예로 만들기가 얼마나 쉬운지 알겠지?' -p343-
지금은 너무나 당연하고 더 많은 권리를 갖고자 하는 여성들의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 허나 불과 100여년도 안 되는 시간 전에는 우리나라는 물론이고 세계적으로 남자들보다 뛰어난 여성이라도 자신의 권리를 제대로 갖기 어려웠다. 남자들의 이기심으로 억울한 일을 당했던 여성들이 무수히 많았으며 지금도 세계 몇몇 나라에서는 너무나 안타까운 현실이지만 이런 여성들이 존재한다.
'킨'은 흑인들의 아픈 삶을 너무나 잘 묘사했다는 생각이 든다. 시대가 영웅을 만든다지만 자신의 권리를 제대로 갖지 못한 시대에서 인간답게 살기 위해 몸부림치던 흑인들의 모습이 사실감 있게 다가오고 상상이 되어 마음이 아프다. '킨'의 주인공 흑인여성 다나와 달리 백인 남성들의 타임슬립을 주로 읽거나 보았던 영화들이 생각이 나는데 그들의 삶과는 다른 다나의 치열함은 흑인의 아픈 역사를 대변하고 있어 마음이 너무나 아프고 지금 난 얼마나 행복한 시대에 살고 있는지 새삼 느끼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