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만의 방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30
버지니아 울프 지음, 이미애 옮김 / 민음사 / 200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버지니아 울프는 20세기 페미니즘 문학에 커다란 영향을 줄 책 '자기만의 방... A Room of Oneis Own'을 40대 후반 1929년에 발표한다. 남자에게 종속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여성으로서 진정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반드시 일 년에 500파운드의 돈과 자기만의 방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내가 평소에 알고 있었던 버지니아 울프의 이미지는 야리야리한 외모에 연악하고 지적이지만 감성적이고 우울증에 시달려 자살로 생을 마감한 여성 작가다. 허나 그녀의 대한 이런 평견은 비평가들에 의해 만들어진 면이 강하고 자신이 갖고 있는 정신 질환에도 불구하고 책을 읽는 것을 게을리 하지 않았고 글쓰기 역시 활발하게 했다. 전쟁 포로가 된 유대인 남편의 처형을 굳게 믿어버린 마음이 원인이다. 여성작가, 여성문학에 대한 다양한 각도에서 들여다 볼 수 있는 책이다.


'여성과 픽션'이란 주제를 강연으로 시작하면서 당시 여성들이 사회, 가정에서 어떤 위치해 놓여 있는지를 통해 한 사람의 여성이 온전히 자신의 색깔을 낼 수 있는 글쓰기가 어렵다는 것을 알려준다. 버지니아는 당시의 여성들 중에서도 지적 활동을 여성들이 살아가기에 얼마나 힘이 드는지 알려주는데 가부장적 사회분위기 중심에서도 온전히 있는 그대로의 사물을 판단하는 일에 주저함이 없고 자신의 목소리를 낸 여성으로 제인 오스틴과 에밀리 브론테 뿐이라고 말한다. 여성들의 이야기를 여성이 아닌 남성들이 썼는데 사회의 규범처럼 굳어진 것에 휘둘리지 않았다.


참으로 다양한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가부장적 문화에서 여성의 위치, 여성들의 모습을 날카롭게 들여다보고 이야기를 풀어 가는데 인상 깊게 느껴지는 구절들이 곳곳에 있다. 개인적으로 인상 깊었던 인물 중 하나인 셰익스피어의 주디스란 누이 이야기... 그녀는 젊은 시절에 죽었지만 그녀는 위대한 시인이기에 버지니아 울프의 속에, 우리들 속에, 가족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여성들 속에 살아 있다고..  셰익스피어 누이와 같은 존재는 계속해서 존재할 것이라고...


또 하나 메리 카마이클의l '사랑의 창조'란 책에서는 여성이 여성을 좋아한다고 표현하고 있는 문장 "클로이는 올리비아를 좋아했다."   -p125-  여성들끼리 가질 수 있는 공통의 경험과 감정을 대담하게 표현해 낸 책이란 생각이 들어 기회가 되면 읽어 볼 생각이다.


사회적으로 상당한 재산을 보유한 여성조차도 아웃사이더로 살아가야 하는 현실을 날카롭게 꼬집는 책이다. 남자 없이 대학 도서관도 마음 놓고 들어가지 못하는 여성들의 모습은 그리 오래된 일이 아니다. 가부장적 문화에

여성의 모습과 이를 벗어나기 위한 나름의 방식을 풀어낸 이야기는 여성이라면 꼭 한 번 읽어보면 좋은 책이란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