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드나잇 선 Oslo 1970 Series 2
요 네스뵈 지음, 노진선 옮김 / 비채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70년대 노르웨이 오슬로를 배경으로 한 요 네스뵈의 'Oslo 1970 Series' 두 번째 이야기가 나왔다. 개인적으로 저자의 작품을 좋아한다. 특히나 냉철하고 통찰력 뛰어나면서도 반항적인 이미지의 남성적인 매력이 풀풀 풍기는 해리 홀레 시리즈를 무척이나 좋아하지만 해리 홀레와 달리 Oslo 1970 Series는 한 권마다 주인공이 각기 다르다. 이 시리즈는 비교적 단순하고 나름 멋스런 스토리를 갖고 있다는 느낌이라 느와르물이 주는 재미를 잘 담아낸 책이란 생각이 든다.


스토리는 전작의 주인공 '올라브 요한센'이 모시던 보스를 피해 도움을 청했던 '뱃사람'이란 암흑가의 인물 밑에서 일하던 남자 '울프'의 이야기다. 울프는 뱃사람을 배신하고 몸을 숨길 곳을 찾아 도망 다닌다. 그는 노르웨이 최북단에 위치한 핀마르크 '코순'이란 마을에 도착한다. 사냥철을 목전에 두고 있지만 폐쇄성을 가진 마을 코순에 나타난 낯선 남자의 출현은 분명 눈길을 사로잡기에 충분하다.

 

 

쉴 곳을 찾아 들어간 교회에서 한 모자를 만난다. 목사인 아버지를 두고 있는 여인과 그녀의 열 살 된 아들 크누트... 어린아이의 호기심인지 크누트는 울프의 등장을 두려움보다 호기심으로 그를 바라본다. 기꺼이 그의 부탁을 들어주는데...


암흑가 사람들은 절대 배신자를 살려두지 않는다. 뱃사람은 특히 크든 작든 자신을 배신한 사람이라면 부모, 형제도 가리지 않는 인물인데 이런 남자를 배신한 울프는 목숨이 위험하다. 자신의 뒤를 추격해오는 뱃사람의 부하로부터 울프는 목숨을 지켜야 하는 상황이지만 자신에게 도움을 준 크누트와 소년의 엄마가 어떤 환경 속에서 살고 있었는지 알게 되며 두 사람도 외면하기 어렵다.


개인적으로 끔찍한 일을 당했지만 가장 가까운 가족으로부터 보호 받기보다는 레스타디우스교를 믿기에 억울한 삶을 선택해야 할 수밖에 없는 인물이 안쓰럽게 느껴진다.

 

 

 

느와르 소설이 가진 진한 어둠을 맛볼 수 있는 울프란 인물이 가진 남성적인 매력은 충분히 담겨져 있는 작품이란 생각이 든다. 울프와 올라브 요한센은 분명 다른 인물이지만 너무나 닮아 있다는 느낌을 준다. 아버지로 받은 상처로 인해 여성혐오를 가진 올라브 요한센가 한 여인을 구하기 위해 목숨을 걸었던 것이나 너무나 간절히 살리고자 했지만 너무 늦어버린 울프의 모습이 자꾸 오버랩된다. 적은 분량의 책이지만 두 주인공이 1인칭 시점으로 고백하듯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내는데 가독성이 뛰어나 빠져들 수밖에 없는 책이라 재밌게 읽었다. 다음 편에는 어떤 주인공이 등장할지 궁금해지는 'Oslo 1970 Series' 시리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