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생긴 여자
마리아피아 벨라디아노 지음, 윤병언 옮김 / 비채 / 2016년 3월
평점 :
절판


 

성격 나쁜 것은 이해해도 못 생긴 것은 용서하지 않는다는 말이 우스갯소리가 떠돌 정도로 우리들은 어느새 예쁘고 아름다운 것을 우선시 하고 있다. 시대가 변하고 미의 기준이 바뀌어도 다른 기준의 미인은 늘 사람들에게 호감을 이끌어낸다. 그 반면에 못 생긴 사람은 생김새로 인해 오해도 받고 손해 보는 일이 많다. 외모보다 내면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겉으로 보이는 외모에 더 끌리는 것은 어쩔 수 없다.


이탈리아 문학을 이끌어 갈 작가로 꼽히는 마리아피아 벨라디아노의 '못생긴 여자'는 자신을 낳아준 부모조차도 외면하게 만드는 외모를 가지고 태어난 한 여자의 이야기로 외모가 우선시 하는 지금 우리 모습을 들여다보게 만드는 슬프고 아프게 다가오는 인상적인 작품이다.


뛰어난 미남자인 아버지와 한때 매우 아름다운 외모를 가졌다는 엄마... 아버지와 달리 어머니는 못 생긴 여자를 낳고 자신만의 공간에 갇혀 지낸다. 못 생긴 여자 아니 아이는 늘 어머니의 관심을 받고 싶다는 갈망과 두려움에 휩싸여 큰다. 피아노를 치는 고모와 여자아이에게 첫 만난 날부터 남다른 애정을 주는 마달레나로 인해 외로움은 덜 느끼며 산다. 고모는 못생긴 어린 조카가 피아노에 남다른 재능을 가졌다는 것을 알게 된다. 세상 밖으로 못생긴 여자아이를 내보내고 싶어하지 않는 부모지만 어쩔 수 없이 학교에 입학을 하게 되면서 비로소 못생긴 아이는 자신의 이름이 '레베카'임을 인식하고 둘도 없는 단짝 친구 루칠라를 만난다.


가족이 가진 유전적 결함을 이겨낼 거란 아버지의 적극적인 구애 끝에 결혼했지만 못 생긴 여자를 낳고 시간이 흘러도 고통을 이겨내지 못한 레베카의 엄마는 끝내 죽음을 선택한다. 매일 같이 예전의 사랑스런 아내를 되찾기 위한 아버지의 노력은 이루어지지 않고 끝난 것이다. 레베카는 한 번도 들어가 보지 못한 죽은 엄마의 방에서 발견된 일기장을 통해 엄마의 고통, 슬픔, 사랑을 대면하게 되는데...


아니라고 말하지만 우리는 외모를 먼저 보는 경향이 강하다. 세상에 선남선녀만 존재할 수 없듯이 외모가 좋은 사람도 있고 외모는 조금 덜하지만 다른 면에서 더 나은 사람도 많다. 레베카 역시 못 생긴 외모를 가졌지만 그녀의 재능은 레베카의 외모를 다른 모습으로 느껴지게 한다. 레바카는 피아노를 통해 다른 사람들을 만나고 그들을 통해 세상 밖으로 나아갈 힘을 얻는다.


못생긴 외모로 인해 의학적 고민을 하고 있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예쁘고 잘생긴 외모보다 중요한 것은 자신감이 아닐까 싶다. 이 정도면 괜찮지 하는 마음... 외모에 열정을 쏟아 붓는 것보다 레베카처럼 자신이 잘 할 수 있는 일에 열정을 쏟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