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가비 해변
마리 헤르만손 지음, 전은경 옮김 / 밝은세상 / 2016년 2월
평점 :
절판


 

다양한 국가의 작가들을 만나는 것은 늘 즐겁다. '나비 부인'으로 스웨덴 최고 권위의 아우구스트 문학상을 수상하며 작가로서 이름을 알린 마리 헤르만손의 '조가비 해변'을 나왔다. 스웨덴이 아닌 프랑스 스릴러 SNCF독자대상  최종 후보작에 올랐을 정도로 재미와 작품성에서 인정받은 책이다.


스토리는 이끌고 있는 두 명의 화자가 있다. 그중 주인공처럼 느껴지는 여성은 민속학자로 이혼하고 아홉 살, 여섯 살 아들 둘을 키우는 싱글맘 울리카는 자신의 친가족보다 더 가족보다 느꼈던 사람들과의 소중한 추억의 장소를 찾는다. 여러가지 면에서 살짝 남다른 행동을 하는 작은 아들이 자신도 모르는 동굴을 찾아낸 것은 물론이고 해골까지 발견한다. 죽은 여자는 이미 오래전 실종 신고가 되어 있던 크리스티나 린뎅이란 여성이다.


울리카는 조가비 해변에서 첫 눈에 자신과 통하는 친구 안네 마리를 만난다. 안네 마리와 친구가 되고 싶다는 열망으로 꿈까지 꿀 정도로 울리카는 안네 마리가 너무나 좋았다. 그녀와 다시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친하지며 안네 마리의 가트만 가족에게 남다른 애정이 생긴다. 안네 마리가 좋았던 면도 있지만 울리카는 외동딸인 자신에게도 안네 마리처럼 언니, 오빠가 있었으면 하는 부러움에 그들 가족 속으로 더 깊은 애정을 갖는다.

 

 

울리카와 다른 화자 크리스티나는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 불편함을 느낀다. 가면을 쓰고 다니며 집착을 보이는 크리스티나를 위해 가면을 없애지만 오히려 더 혼자만의 세계로 더 깊이 들어가고 만다. 정신병원에 입원하고 그곳에서 그림을 그리며 자신을 표현한다.


안네 마리의 가족에 새로운 가족이 생긴다. 막내 '마야'가 등장한다. 마야는 자신만의 세계 속에 사는 꼬마로 오로지 안네 마리만을 쳐다본다. 아무래도 나이차가 가장 적었던 이유가 그 중 하나라 여겨지지만...


여름을 가트만의 자녀들과 울리카... 마야도 이번에도 안네 마리를 따라 나선다. 천막에서 잘 놀고 있을 줄 알았던 마야가 사라진다. 아이를 찾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무려 6주나 지나 도저히 혼자서 어린 아이가 있을 수 없는 장소에서 발견되지만 마야가 돌아와도 가족들은 예전과 같은 생활을 하기 어려워진다.


서로의 아픔까지도 보듬을 수 있는 게 가족이라고 한다. 허나 가족이지만 서로에게 상처를 주고받거나, 없는 것보다 못한 가족도 있거나 하나의 상처가 서로의 깊은 상처를 다시 들추어내어 오히려 얼굴을 보고 살아가는데 버겁게 만들기도 한다. 가트만 가족도 그러하다. 마야의 실종과 돌아옴은 부모님이 가슴 속 깊이 잠재어 두었던 상처를 들추어낸다. 그 상처가 너무나 깊고 커 도저히 회복이 되지 못한다.


과거는 아름답게 기억되는 면이 크다. 울리카에게 있어 가족보다 가트만 가족과 보내는 여름이 그녀의 인생에서 가장 즐겁고 슬픈 모습을 가졌다. '조가비 해변'은 뒤통수를 때리는 반전이 존재하지는 않지만 같은 여자로서 가슴을 아프게 파고드는 소설이다. 요즘 관심을 가진 북유럽 신화, 설화 이야기가 등장해 흥미로웠으며 단숨에 읽게 만드는 가독성과 재미 또한 좋으며 이 소설을 프랑스 독자대상 스릴러 소설에 올랐는지 짐작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