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론 - 신영복의 마지막 강의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 전에 너무나 안타까운 부고가 많은 사람들에게 슬픔을 주었다. 한 번도 실제로 뵌 적은 없지만 신영복 교수님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들었기에 기회가 되면 꼭 한 번 뵙고 싶었는데 너무나 일찍 우리들 곁을 떠난 것이 안타까울 뿐이다. 다행히 신영복 교수님의 '담론'이 독자들에게 많이 읽히고 있다는 이야기를 들으며 나도 이번에는 제대로 읽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담론의 부제목은 '신영복의 마지막 강의’다. 몸이 안 좋으셔서 2014년 겨울 학기를 마지막으로 더 이상 대학 강단에 서지 않았던 신영복 교수님의 강의록인데 고전이 어렵다는 생각에서 벗어나 깊은 깨달음을 느끼게 해주는 이야기가 어렵게만 느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항상 고전을 읽을 때마다 어렵게 느끼던 나에게 있어 고전을 조금은 쉽고 가깝게 느낄 수 있었던 시간이다.

 

 

머리에서 생각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가슴에서 이루어지며 공부는 머리에서 가슴으로 가는 애정과 공감으로 발은 삶의 현장을 뜻한다.  '가슴에서 발까지의 머리가 아니라 가슴으로 하는 것이며 가슴에서 끝나는 여행이 아니라 가슴에서 발까지의 여행이라고 알려주신다.

 

자신이 가진 굳어버린 인식의 틀을 깨트리는 것이 공부라며 우리의 삶이 곧 공부며 자연, 사회, 역사를 알아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무엇보다 나 자신을 제대로 알아야 한다. 과거, 현재와의 소통을 통해 미래를 만들어 갈 수 있도록 이끌어주는 것이 고전공부의 목적이라고 알려준다. 

 

 

복잡한 것을 간단하게 압축하는 추상력, 작은 것으로부터 큰 것을 읽어내는 상상력... 추상력과 상상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지만 이 둘을 적절히 배합하여 구살할 수 있는 유연함이 무엇보다 필요하다는 글을 보며 신영복 선생님이 강조하고 싶었던 말이 이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맹자의 '만남'을 화두로 풀어낸 부분이다. 우리의 삶은 다른 사람과 얽힌 인간관계에서 다양한 문제들이 야기된다. 많은 사람을 안다는 것이 좋은 것인지 아님 안 좋은 것인지에 대한 생각을 요즘 많이 한다. 신영복 교수님이 알고 모르고의 차이를 지하철 의자 쟁탈전?을 두고 20분의 인연으로 풀어낸 이야기가 인상적이다.

 

 

노자는 최고의 선은 물과 같다는 말한다. 물은 위에서 아래로 흐를 수밖에 없다. 가장 많고 넓고 낮게 퍼져 있는 것은 평범한 일반인이다. 세상의 가장 낮은 곳에 있는 사람들을 생각하는 민초의 정치학을 노자의 물을 통해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공자의 글은 늘 어렵다. 이 글이 어렴풋이 이해가 되지만 나는 내 방식으로 이 글을 해석했다.

 

 

어려운 사람이 더 어려운 사람을 돕는 사람이 많다고 한다. 금액적인 면에서는 돈이 많은 사람이 낸 거금이 가난한 사람들이 모여 낸 돈보다 금액 면에서는 훨씬 많을 수 있다. 허나 그 안에 담겨진 진정한 기부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 볼 수 있었던 흥미로웠던 글이다.

 

 

 

여행을 좋아한다. 시간이 나거나 조건이 맞으면 좋고 마음에 드는 것을 구입하는 것보다 여행을 떠나고 싶다. 여행은 나와의 온전한 만남을 있게 한다. 친구나 가족과 함께하는 여행도 좋지만 혼자만의 여행을 늘 가슴에 품고 사는 이유이기도 하다. 제대로 혼자만의 여행을 그리 많이 하지 못했다. 다시 기회가 주어진다면 그때는 혼자서 아무런 편견 없이 여행지의 모든 것을 느끼고 싶다.


선생님은 자신의 청춘을 모두 보낸 감옥도 자신의 인생에서 깊고 뜻 깊은 여행이었다고 표현한다. 그 마음을 온전히 이해하기는 어려워도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힘든데 어떻게 여행으로 표현하실 수 있나 싶을 정도다. 정치범도 있지만 온갖 종류의 범죄자가 모여 있는 감옥... 감옥에 모여 있는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깊은 인간학을 갖게 되는 것이라 여겨진다.


우리는 매일 여행을 떠나고 있고 다른 사람들과 만나고 있다. 그중에서 자기와의 만남이 중요하다. 여행은 떠나고 만나고 결국 돌아오기 위함이다.


선생님은 많은데 진정한 스승은 없다는 말을 한다. 우리 시대에 신영복님 같은 스승이 더 많이 계시다면 얼마나 좋을까 책을 읽으며 수시로 생각해 보게 된다. 담론은 내 마음가짐을 들여다보고 어떻게 살아야하는지.. 삶에 대한 자세를 다시 생각해 보게 만드는 책이란 생각이 든다. 저절로 숙연해지고 신영복 교수님의 빈자리가 크게 다가온다.


담론은 사람에 대한 이야기다. 사람을 안다는 것... 올바른 사람을 키우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욕망과 소유의 거품, 성장에 대한 환상을 청산하고, 우리의 삶을 그 근본에서 지탱하는 정치, 경제, 문화의 뼈대를 튼튼히 하고, 사람을 키우는 일 이것이 석과불식의 교훈이고 희망의 언어라고 강조하신 의미를 곱씹어 본다. 담론은 고전을 통해 인문학을 배울 수 있는 최고의 책이란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