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형의 집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48
헨릭 입센 지음, 안미란 옮김 / 민음사 / 201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헨리크 입센의 '인형의 집'은 여러 사람들에게 추천 받은 책이지만 차일피일 미루다가 이제야 읽게 되었다. 이 책의 내용은 실제 있었던 부부의 이야기를 모티브로 쓰인 작품이다. 당시 남성중심의 가부장적인 분위기가 사회 전반에 깔려 있는 가운데 남자와 여자, 아내와 남편의 역할이 확실히 구분되어 있는 분위기로 인해 출간과 동시에 비난이 쏟아졌다고 한다.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안주인 노라 헬메르는 기분이 너무나 좋다. 남편 토르발 헬레발과 아이들을 위해 선물도 준비하고 내년부터는 지금과 달리 은행 총재가 될 남편 덕에 생활에 여유가 올 거란 확신 때문이다. 이런 노라를 보며 낭비벽이 심한 여자라고 생각한다.


노라의 옛 친구가 린데 부인이 찾아온다. 그녀는 그동안 연락을 하지 못하고 지낸 사연을 들려준다. 친정 식구들을 위해 하루도 쉬지 않고 일해야 했던 그녀는 노라에게 취직자리를 부탁한다. 노라는 친구 린데 부인처럼 열심히 살아왔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그 누구에게도 말하지 않은 비밀을 꺼내는데... 


오래 전 남편이 갑자기 심하게 아팠을 때 다른 지역으로 요양하러 가야 했던 시기에 급하게 돈을 마련하기 위해 선택한 방법이 남편과 자신의 생활을 위협한다. 남편 모르게 조금씩 돈을 갚고 있는 상황인데 돈을 빌리는데 결정적 역할을 해준 변호사가 남편으로 인해 직장에서 쫓겨날 위기에 처해 자신을 위해 노라가 도와야 한다면 협박을 한다. 절대 남편에게 알려져서는 안 된다. 자신의 모든 것을 걸고 막고 싶은 노라의 마음이지만 그녀의 친구 린데 부인의 생각은 다르다. 한때 자신과 특별했던 변호사를 찾아가 모든 것이 알려지기를 바란다며 다시 시작하고 싶다고....


자신이 사랑하는 남편의 병을 고치고 싶었던 노라의 간절한 마음이 충분히 공감이 된다. 그녀가 자신의 행동에 자부심을 느끼는 것과는 달리 남편 토르발의 성격을 알기에 절대 알려지는 것에 두려움을 느낀다. 허나 진실은 갑자기 들어나며 이 모든 사실에 남편은 그녀를 이해하기 보다는 질책하기 바쁘다.


헬메르 : 거짓말 덩어리는 가정생활에 먼지와 병균을 가지고 오니까 말이지. 그런 집에서 아이들이 숨을 쉴 때마다 들이마시는 공기는 악한 기운으로 가득 차 있어.                   -p52-

 

 

 

노라의 남편 토르발 역시 노라를 '종달새'라고 부르며 철없고 아무 생각 없이 펑펑 돈 쓰는 것을 좋아하는 생각 없는 여자라 생각하며 그녀의 이런 면을 인정하고 사랑해 준 것이 아니라 그녀를 아기처럼 자신의 보호 하에 놓고 귀여운 인형처럼 여겼던 것은 아버지와 별반 다르지 않다. 자신이 사랑받고 존중 받는 존재라고 느꼈지만 자신은 그냥 아버지와 남편에게 있어 자리만 옮겨졌을 뿐 하나의 장난감에 지나지 않은 존재였던 것이다.


얼마 전에 TV이를 통해 흥미로운 영상을 보았다. 여자, 남자처럼 행동하는 모습이 처음부터 가지고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이 흐르면서 만들어진다는 것을 알려주는 영상이었다. 어릴 적에는 남자아이와 별반 다르지 않았던 여자아이들의 행동이 시간이 흐르면서 사람들의 생각하는 여성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여성의 모습은 만들어진다는 생각을 어렴풋이 하고 있었지만 실제로 보니 재밌기도 하고 어른들이 가진 가치관을 아이들에게 심어주는 것이 옳은 일인 것인가에 대해 생각해 보았던 기억이 지금도 남아 있다. 인형의 집의 노라 역시 아빠, 남편에 의해 만들어진 아니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의 마음에 들고 싶어 노력을 하는 여자였다.


시대상이 가진 아내, 어머니의 상을 과감하게 뿌리치고 자신의 자아를 찾아 집을 나서는 노라의 모습에 응원의 박수를 보내고 싶은 마음이 생긴다. 지금이라면 그녀는 틀림없이 잘 살아갈 수 있을 거란 생각이 들지만 막상 집을 나와 린데 부인의 집에 잠시 머무르며 자신을 찾아가는 노라는 행복할 수 있을까? 의문이 드는 것은 여성의 인권이 존중되지 않은 시대라 걱정스런 마음이 생겨 뒷이야기가 궁금해진다.


헨리크 입센의 '인형의 집'은 너무나 짧은 이야기 속에 많은 생각을 이끌어내는 책이다. 시대가 당연하게 생각하는 것에 반기를 든다는 것은 쉽지 않다. 더군다나 모성을 지닌 어머니는 자식의 곁을 떠난다는 것이 더 어렵다. 그만큼 노라의 결단력은 대단하며 자신을 둘러싼 허위, 가식적인 삶에 중독된 자신이 결코 행복하지 않았고 앞으로도 행복할 수 없다는 것을 알기에 나올 수밖에 없다는 결론을 내린 것이다. 노라의 선택에 공감하며 그녀가 행복하기를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