셜로키언
그레이엄 무어 지음, 이재경 옮김 / 비채 / 2016년 1월
평점 :
절판


 

셜록 홈즈는 눈을 감고, 팔꿈치를 안락의자 팔걸이에 괴고,

손가락 끝을 모았다. "이상적인 추론가는 말일세," 그가 말했다.

"모든 정황을 따진 결과 하나의 사실을 발견하면,

그 사실의 원인이 된 연결고리들뿐 아니라,

그 결과로 뛰따라 일어날 일들까지 추리해내는 법이라네."


-아서 코난 도일 경. <다섯 개의 오렌지 씨앗>


전 세계적으로 가장 사랑받는 캐릭터 중 하나가 '셜록 홈즈'가 아닐까 싶다. 시대를 초월해 끊임없이 마니아층을 만들어내는 셜록 홈즈... 아서 코난 도일이 만들어낸 캐릭터지만 전 세계 사람들은 그를 마치 진짜 실존했던 인물처럼 느끼고 생각한다. 다양한 장르에서 새로운 모습으로 재생산 되어 우리들 곁에 늘 함께하는 셜록 홈즈... 자신이 탄생시켰지만 애증의 관계를 벗어나지 못하는 저자 아서 코난 도일을 통해 셜록 홈즈의 또 다른 이야기를 만날 수 있는 레이엄 무어의 '셜로키언'... 표지에 쓰여 있는 글처럼 셜록 홈즈를 알 만큼 안다고 느끼고 있는 사람들에게 제대로 한 방을 먹인 작품이란 생각을 갖게 하는 작품이다.


'셜로키언'은 아서 코난 도일의 셜록 홈즈와 그 작품에 매료된 열광적인 팬을 가르치는 말이다. 스토리의 시작은 셜록 홈즈란 전대미문의 매력적인 캐릭터를 만든 저자 아서 코난 도일은 셜록 홈즈에 열광하는 사람들의 모습에 심기가 많이 불편함을 들어낸다. 분명 도일에게 부와 명예를 안겨준 셜록 홈즈지만 독자들이 셜록 홈즈를 하나의 캐릭터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살아 있는 존재처럼 영웅시 되는 것에 불만을 가진 코난 도일은 셜록 홈즈를 더 이상 살아 있는 존재로 남겨두지 않기로 한다. 마침내 도일은 셜록 홈즈를 죽인다.

 

 

앞서 홈즈를 죽이고 싶어 하는 아서 코난 도일의 모습을 담은 1890년대의 시점과 2010년 셜록 홈즈에 열광하는 사람들이 모인 '이레귤레스'의 멤버들 중 한 명이 매일 자신이 한 일을 적은 코난 도일의 사라진 일기장을 발견했다는 현재의 시점... 이렇게 100여년의 시간 차이를 두고 스토리는 흥미롭게 전개된다.


과거의 시점에서 홈즈를 죽이며 나름 평화를 갖게 된 코난 도일이지만 홈즈의 죽음이 신문에 날 만큼 큰 화제를 불러오고 사람들은 코난 도일에게 적의를 들어낸다. 몇 년 조용한 시간을 보내는 도일에게 소포가 보내지고 그 안에는 사제 폭탄이 들어 있다. 다행히 점화는 되지 않았지만 도일은 공포 대신 분노를 느낀다.

 

 

세상에 공개되지 않은 일기장... 일기장을 발견한 사람은 싸늘한 시체로 발견이 되고 이 의문의 죽음을 해결하려는 사람은 이제 겨우 일주일 전에 '이레귤레스'에 가입한 해럴드와 죽은 남자와 그가 찾은 일기장을 취재하러 온 여기자 세라다. 분명 코난 도일의 일기장을 노린 살인사건이지만 확실한 증거가 될 일기장은 어디에도 없다. 여기에 코난 도일의 자손이라는 남자는 일기장의 소유권을 주장하며 해럴드에게....


경찰을 찾은 도일은 실망감을 느낀다. 누가, 무슨 목적으로 자신을 죽이려고 하는지, 또한 의문의 문신을 한 죽은 신부는 누구인지... 도일은 스스로 사건을 해결하기로 마음 먹는다.

 

 

 

 

셜록 홈즈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단번에 빠져들 정도로 매력적인 책이다. 전혀 다른 사건을 다루고 있지만 아서 코난 도일과 해럴드는 셜록 홈즈처럼 사건을 해결하려는 모습을 보인다. 홈즈에게 왓슨이 있었던 것처럼 코난 도일 곁에는 '드라큘라'의 저자 브램 스토커가 있고 해럴드 곁에는 여기자 세라가 함께 한다. 사건의 진실에 상관없이 코난 도일이란 인물이 가진 개인적인 욕망, 정직성을 대하는 방식도 흥미롭고 지금과 달리 여성의 권리를 크지 않았던 1900년대 모습이 어떠했을지 상상해 보는 것, 생각지도 못한 의외의 반전이 기다리고 있어 책을 읽는 즐거움을 증가시킨다.  


의술은 참으로 부정확한 과학이었다. 픽션보다 더한 예술이었다.      -p126-


추리소설에서 최악의 결말은 '모르고 끝나는 것'이에요. 사람들은 세상일엔 모두 속사정이 있고, 그걸 알아낼 수 있다고 믿고 싶어 해요. 정의 실현은 선택 사항이지만 해답은 의무 사항인 거죠. 내가 홈즈를 사랑하는 것은 그 때문이에요.                     -p304,305-


미해결 사건은 짜증만 유발하는 게 아니었다. 미칠 듯한 분노와 끔찍한 뒤끝을 남겼다.    -p326-


지금도 우리 주변에는 셜로키언을 자처하는 사람들이 꽤 있다. 셜록 홈즈를 좋아하던 나 같은 사람들이 정말 많다는 것을 새삼 알게 되었고 그들이 만들어내는 이야기가 흥미로웠던 '셜로키언'... 한 권으로 끝나기는 아쉽다는 생각이 든다. 홈즈를 사랑하는 셜로키언들을 위한 셜로키언들의 이야기가 재밌고 흥미로운 그레이엄 무어의 '셜로키언'... 셜록 홈즈 마니아라면 반드시 읽어야 할 필독서라고 말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