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1위 실리콘밸리의 자유로운 업무 방식 - 구글 애플 페이스북 어떻게 자유로운 업무 스타일로 운영하는가
아마노 마사하루 지음, 홍성민 옮김 / 이지북 / 2015년 1월
평점 :
절판


미래의 유망직종은 지금과는 많이 다를 것이다. 창조적인 직업들이 많이 생겨날 것이란 생각은 가지고 있다. 허나 우리나라의 경우는 어린시절부터 밤늦게까지 학원으로 뺑뺑이 돌며 대기업에 들어가는 것을 최고의 목표로 삼고 있다. 자신의 능력을 맘껏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회사가 아닌 조직 속에 속해 맡은 일만을 해결하는 안정적인 직종을 선호하는 것은 우리나라만의 특수한 상황이란 생각이 들지만 일본 역시 우리와 비슷한 업무 방식을 갖고 있다는 것을 '세계 1위 실리콘밸리의 자유로운 업무 방식'을 통해 새삼 알게 된다.


책은 미국의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만()을 둘러싼 샌프란시스코반도 초입에 위치하는 샌타클래라 일대의 첨단기술 연구단지 (네이버 검색)를 중심으로 한 실리콘밸리에서 일하는 일본인들을 통해 최고의 기업이 어떤 방식으로 움직이는지 알 수 있다. 획일화된 업무 방식이 아닌 개인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 실리콘밸리의 모습을 보며 부럽다는 생각이 든다.


우리는 상사의 지시에 무조건 따라야 하는 방식으로 시스템이 돌아가고 있다. 이를 거스를 때는 여러가지 불이익을 감수해야 한다. 허나 실리콘밸리에서는 조직 내에서 통하는 정답 자체가 없다. 하나의 틀에 박힌 정답을 쫓기 보다는 개개인이 가진 창의력, 능력을 맘껏 발휘하도록 이끌어 주기에 창업을 하는 사람들이 많다. 우리는 사업체를 설립해도 중간에 잘못되어 망하게 되면 엄청난 빚을 떠안게 되기 쉽다. 한 번의 실수로 인해 더 이상 무엇인가 해볼 엄두를 내지 못하는 게 현실인데 실리콘밸리에서는 설령 창업을 하여 망하더라도 다시 회사를 창업하는데 주저함이 없다. 물론 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꺼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정보들을 나누는 것에 주저함도 없다. 자신의 시간을 기꺼이 희생하며 도와주려는 그들은 자신들 또한 다른 사람들에게 기꺼이 도움이 되려고 한다. 일에 맞는 사람을 채용하기 위해 인턴 제도를 적절히 활용하는데 우리는 매년 신입사원을 뽑아 일을 가르치는 경우가 다수라 업무를 파악하고 적응하는데 시간이 걸린다. 실리콘밸리와 같은 시스템이 모법 답안이란 생각이 드는데 우리의 현실은 이런 모습은 보기 힘들다는 게 아쉽다.


자유로운 업무방식으로 자유를 느끼며 즐겁게 실리콘밸리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다른 곳보다 상대적으로 급료가 높다. 행복한 업무 방식을 원하는 사람들이 지금도 실리콘밸리로 몰리고 있다는 글을 보며 우리나라의 취업문이 너무나 좁기에 이곳에서 일자리를 찾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란 생각이 든다. 영어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는 사람들은 시도조차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책 속에 나온 남자의 말에 따르면 언어능력보다는 적극적인 태도가 중요하다.


지금의 실리콘밸리가 모습을 갖게 된 이야기, 실리콘밸리에서 일하는 사람들, 실리콘밸리의 시스템 등에 대한 이야기가 흥미롭지만 그 중 실리콘밸리에서 일하고 싶으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행복하게 일하기를 바라는 내 자식에게 알려주고 싶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