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차단
제바스티안 피체크.미하엘 초코스 지음, 한효정 옮김 / 단숨 / 2015년 2월
평점 :
절판

천재 법의학자와 사이코스릴러 소설의 제왕이 뭉쳐 만들어낸 합작품 '차단'... 저자 중 한 분인 독일 스릴러의 제왕이라고 불리는 제바스티안 피체크의 작품은 읽은 적이 있기에 신뢰감이 생긴다. 타우누스 시리즈로 통해 독자층을 형성한 넬리 노이하우스와 제바스티안 피체크가 아마도 우리에게 알려진 유명한 독일작가라는 생각이 드는데 법의학자 미하엘 초코스가 함께한 이번 작품에서는 어떨지 기대감이 생긴다.
법의학자 파울 헤르츠펠트는 턱이 사라진 심하게 손상된 나이 지긋한 여인을 부검하고 있다. X-레이 촬영을 통해 확인된 머릿속 이물질을 안에 적힌 글자는 열일곱 살 된 자신의 딸 이름이다. 이혼을 하며 자주 볼 수 없는 딸아이 한나에게 무슨 일이 생긴 것이란 생각에 충격에 휩싸인 그의 핸드폰을 찾는다. 살려달라는 딸아이의 음성에 파울은 절망한다.
매력적인 남자친구가 본색을 드러내자 두려움을 느낀 만화가 린다는 가족의 도움으로 그에게서 도망을 친다. 두려움에 사로잡힌 그녀는 우연히 한 남자의 시체를 발견하고 남자의 소지품인 핸드폰 번호에 전화를 걸게 된다. 받은 사람은 법의학자 파울 헤르츠펠트.. 파울은 한나를 찾는 열쇠가 남자의 시체 안에 있다고 믿지만 기상악화로 갈 수 없기에 린다에게 해부를 부탁한다. 두려움에 떨지만 린다는 파울의 마음을 이해하기에 도와준다.
파울의 딸을 찾기 위한 증거들을 추적해가는 과정에서 과거의 사건이 중심에 있다는 것이 알게 된다. 옳고 그름의 문제가 아니라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일을 하는 것에 주저함이 없었던 파울이지만 한나가 그 댓가를 치른다고 느껴지자 두렵기만 하다.
나쁜 일을 한 사람은 그에 합당한 법의 처벌을 받기를 바라는 마음은 누구나 있을 것이다. 허나 현실에서는 어떠한가? 우리나라도 그렇지만 외국 아니 독일 역시도 우리와 별반 다르지 않은 거 같다. 인간의 탈을 쓴 변태성욕자 납치범이 법의 보호를 받으며 죄에 대한 뉘우침은 없다.
차단을 읽다보면 예전에 박신양씨가 주인공으로 나온 드라마가 생각이 난다. 우리에게 다소 생소했던 법의학이란 직업을 확실하게 각인시켜 주었는데 차단 역시 법의학자로 살아가며 자부심까지는 아니더라도 직업관이 투철했던 파울이 변태성욕자에게 딸이 납치되자 흔들리고 마는 모습에 내 가족이 내 자식이 끔찍한 일을 당했다면 저런 판결을 내릴 수 있을까 싶은 재판결과에 상관없는 나도 분노했기에 가해자보다 피해자를 생각하는 판결이 이루어져야하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든다. 그래서인지 인상적인 파울의 마지막 선택이다.
뉴스를 통해 너무나 자주 접하게 되는 성폭행 사건... 평생 피해자들의 엄청난 고통을 가해자들은 얼마나 알까 싶다. 영화로 나왔던 '소원'이의 가해자가 몇 년 있으면 나온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소원이는 평생 신체적 고통을 감수하고 살아야하는데 술에 취했다고 형량을 낮추어준 판사의 그릇된.. 개인적인 생각이다. 판단 때문에 불안해하지 않을지 걱정스럽다. 다른 어떤 범죄보다 아이들을 상대로한 범죄에 대한 무거운 법적용이 현실화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다시 한 번 해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