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들러 심리학을 읽는 밤 - <미움받을 용기> 기시미 이치로의 아들러 심리학 입문
기시미 이치로 지음, 박재현 옮김 / 살림 / 2015년 1월
평점 :
아들러에게 남다른 애정을 가진 저자 기시미 이치로는 전작 '미움받을 용기'를 통해서 알게 되었다. '미움받을 용기'의 원전이 된 책이라고 하는 '아들러 심리학을 읽는 밤' 행복한 삶을 살고 싶은 모든 사람들이라면 꼭 한 번은 읽어볼 필요가 있는 책이다.
가장 어려운 것이 인간관계다. 행복도 인간관계에서 큰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있다. 상대에게 좋은 사람으로 인식되고 싶은 마음이 크기에 사람들은 더 많이 상처받고 버거워하고 있다. 특히나 우리나라 사람들의 행복지수는 세계 어느 나라보다 낮은 걸로 알고 있다. 왜 행복하지 못한 사람들이 다른 나라에 비해 더 많은 것인지는 어린 시절부터 공부로 시작된 경쟁구도가 커다란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닌가 싶다. 요즘 아이들은 부모세대의 육아나 교육이 먹히는 시대가 아니다. 누구나 같은 경험을 가지지 못하기에 아이들에게 자신감을 키워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더불어 다양한 친구와 좋은 관계형성을 만들 필요가 있다. 아들러는 개인적으로 친하게 지낸 아버지와 달리 어머니에 대한 감정은 그리 좋지 않다. 프로이트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 대한 반기를 들며 지적한 것도 자신의 경험이 바탕이 되었기 때문이다.
아들러는 말한다. 우리가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것이 세 가지 있다. 자기 수용, 타자 신뢰, 타자 공헌이라고... 이 중 하나라도
부족하게 되면 행복해질 수 없다. 대개는 자기 자신을 잘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자신의 부족한 면을 수용하고, 스스로를 변화시키려는 노력..
용기만 있으면 가능하다.
심리학 하면 어렵게 느껴지는 면이 있는데 책은 전혀 어렵게 느껴지지 않는다. 아들러의 심리학에 대한 좀 더 세심하게 이야기를 풀어 놓아도 좋았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살짝 남는다. 그럼에도 아이가 스스로에게 자부심을 느끼고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내용이 많아 흥미롭게 읽었다.
알프레드 아들러, 프로이트, 융과 함께 심리학의 3대 거장이라 불린다. 심리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프로이트의 이론은 익히 알고 있다. 융에 대해서는 프로이트만큼은 아니더라도 어느 정도 알고 있는 반면에 아들러에 대해서는 잘 모르고 있었던 면이 많다. 아들러의 심리학에 기반을 둔 이야기뿐만 아니라 뒷부분에 따로 알프레드 아들러의 삶에 대해 알 수 있는 것이 책을 읽는 또 다른 재미다.
다른 사람의 눈을 너무 의식하다보면 정작 나의 행복이 방해받게 된다. 누군가에게 미움 받는 것에 두려워하지 말고 자유롭게 자신의 의지대로 사는 것이 중요하다. 내가 행복해야 나를 중심으로한 가족도 행복하다. 나의 행복이 어디에서 오는지에 대한 생각을 다시 해보게 된다. 매일매일 특별한 일이 일어나기를 바라는 것보다 안 좋은 일어나지 않은 것에 감사하며 작은 것에 행복하며 살고 있는 시간의 소중함을 늘 기억할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