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구를 타고 5주간 쥘 베른 걸작선 (쥘 베른 컬렉션) 12
쥘 베른 지음, 김석희 옮김 / 열림원 / 2015년 1월
평점 :
품절


더 이상의 말이 필요 없는 작가 쥘 베른... 그의 작품을 읽고 자란 독자로서 저자의 작품에 남다른 애정을 가지고 있다. 역사상 가장 위대한 작가 중 한 명이란 평을 듣고 있는 저자의 작품을 요새 들어 새롭게 만날 수 있어 즐거운데 '기구를 타고 5주간'은 80일간의 세계일주, 15소년 표류기 등과 달리 읽은 기억이 없는 작품이라 내심 궁금하고 기대된 책이다.


지금이야 세계는 하나란 표어가 있을 정도로 하루면 세계 그 어디든 날아갈 수 있는 시대가 되었지만 쥘 베른이 살던 19세기에는 하늘을 나는 기구를 타고 여행을 한다는 자체가 쉽지 않았고 이를 두고 말도 많았다. 기구를 타고 5주간은 위험천만한 아프리카 탐험을 담고 있는 흥미진진한 이야기다. 주인공은  탐험가인 새뮤얼 퍼거슨 박사로 그와 함께 할 친구인 우연히 퍼거슨 박사의 아프리카 탐험에 대한 기사를 본 열려 있는 사고방식을 가졌지만 완고한 사냥꾼인 딕 케네디가 친구를 말리러 갔다가 오히려 퍼거슨과 함께 여행에 참여하게 된다. 여기에 퍼거슨 박사의 하인이며 영리하고 주인에 대한 높은 존경심을 가진 조까지 세 명이서 하늘을 나는 기구 '빅토리아' 호를 타고 미지의 세계 아프리카 탐험을 멋지게 해낸다.


출발부터 순탄했던 것은 아니다. 너무나 무모해 보이는 계획이라 성공보다는 실패를 예상한 사람들이 많다. 퍼거슨 박사에 대한 온갖 이야기들이 난무하고 여행을 무사히 마치고 돌아올 수 있는지 등에 의문을 갖는 사람들이 더 많았을 정도로 퍼거슨 박사 일행의 모험에 회의적인 반응이 주를 이룬다. 그럼에도 퍼거슨 박사는 누구보다 이 모험에 대한 확신이 자리잡고 있다. 친구 케네디에게 말했듯이 그들을 가로막거나 부딪치게 될 장애물은 뛰어넘기 위해 존재한다고 말할 정도로 탐험에 대한 남다른 열정을 가지며 추진시킨다. 영국 정부가 보내준 레졸루트 호를 타고 모잠비크 해안에 도착했지만 섬주민들의 맹렬한 반대에 부딪혀 첫 번째 고비부터 시작해 그들 앞에는 무수히 많은 고비들이 기다리고 있다.


마지막까지 친구를 말리고 싶었던 사냥꾼 케네디의 노력이 있었지만 결국 그들은 빅토리아 호를 타고 여행길에 오른다. 열병에 걸리고, 원숭이들의 습격을 받고, 코끼리 상아에 낀 기구의 닻 갈고리가 걸려 급박한 상황에 빠지기도 한다. 원주민 부족 간의 전쟁을 모른체하기 힘들어 총을 발사하며 한 쪽 우두머리를 죽이고, 잡혀 있던 신부를 구하지만 그 역시도 결국 그가 모시는 분 곁으로 떠나고 만다. 이때 그를 묻어둔 곳은 인간들의 욕망을 자극하는 것이 매장되어 있는 장소다. 비를 담고 있는 구름으로 인해 기구가 위험에 노출되기도 하고, 사막을 지나며 환상을 보기도 하고, 사자를 만나기도 한다. 또 세상에서 가장 큰 수염수리란 이름의 새를 만나 기구에 문제가 생길까봐 하인 조는 호수에 뛰어든다. 조를 찾기 위한 케네디와 퍼거슨 박사의 노력과 달리 조는 원주민에게 이상하리 만큼 과한 대접을 받지만 이것은 차드 호 섬사람들이 모시는 우상 숭배와 관련이 있다. 위험 속에 간신히 기구의 줄을 잡고 탈출에 성공해 다시 일행과 합류하게 된 조... 조는 그를 구해준 케니디가 무척이나 아끼는 물건을 그의 손을 떠나지 않게 도와주기도 한다. 이들은 구이나 폭포를 지나 세네갈 총독이 파견한 원정대와 만나며 여행을 무사히 마무리 짓게 된다.


지금 시대로 보면 조금 시시한 모험 이야기일 수도 있다. 허나 시대가 19세기란 것을 감안하고 읽으면 그야말로 인디아나 존스를 보는 것처럼 흥미진진하다. 많은 사람들이 도전했지만 제대로 성공하지 못한 탐험 지역을 지나며 온갖 역경이 그들 앞에 펼쳐지는 아프리카를 유럽인들이 시선에는 미개한 곳이라는 시각이 얼마나 지배적인이었는지 새삼 알 수 있다. 그들이 탐험을 떠나는 것은 더 넓은 미지의 세계를 개척하고 싶은 욕망을 품고 있다. 퍼거슨 일행을 중심으로 한 이야기라 그들이 별로 상관없는 사람, 동물들을 향해 총을 겨누는 장면도 있고 아프리카 사람들을 바라보는 미개하다는 인식은 다소 불편한 감정을 불러올 수 있지만 글이 쓰인 시대를 감안해서 읽으면 이해가 된다.


복고가 다시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데 이 책 역시 이미 지난 탐험 영화를 보는 듯 한 감성을 불러일으키는 면이 있다. 지금처럼 판타지가 난무하는 볼거리를 제공하지는 않지만 지난 역사 속 모습을 떠올리게 하는 볼거리가 풍부한 흥미로운 모험이 이야기를 담고 있다는 느낌을 준다. '경이로운 여행'이란 평을 듣는 '기구를 타고 5주간'.. 저자의 책을 좋아하는 독자라면 그의 첫 번째 장편소설을 놓치지 말라고 말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