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의 탄생 - 사라진 암호에서 21세기의 도형문까지 처음 만나는 문자 이야기
탕누어 지음, 김태성 옮김 / 김영사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만큼 한자의 중요성이 없어져 한자 공부를 일부러 하지 않은 이상은 한자를 잘 아는 학생들이 거의 없다. 당장 우리집 아이들만 보아도 한자 몇 자 읽기도 버거워 하는 실정이다. 나나 옆지기는 그나마 학생시절에 짧게나마 한자를 배울 기회가 있었다. 생활 속에서 한자를 가장 많이 접하게 되는 신문... 한창 신문을 열심히 읽었을 때는 기억하고 있던 한자들도 신문보도에 대한 불신이 깊어지면서 신문을 보지 않다보니 자연스럽게 그나마 알고 있던 한자들도 잊어먹었다.


한자의 탄생은 기존에 학교에서 배웠던 것보다 한 단계 나아가 한자가 탄생이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과학적으로 발전해 왔다는 것이다. 가장 오래 된 한자인 갑골문은 3천 년 전의 문자다. 거북 배딱지와 소의 어깻죽지 뼈에 새긴 글자다. 그만큼 오래된 글자임에도 문자의 모양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풀어갈수록 저절로 감탄하게 될 정도로 3천 년 전의 문자가 가진 과학성이 뛰어남에 놀라게 된다.


한자가 정확히 어디에서 어떻게 발명되었는지 깊이 생각해 보지 않았다. 학교에서 배운 것을 떠올려 보아도 한자가 어떤 모양을 띄고 있고 어떤 변화를 걸쳐 지금의 한자 하나하나가 되었는지 배운 것뿐이다. 헌데 사실은 한자는 누군가에 의해 발명된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에 걸쳐 변화를 거쳐 발전하고 형성되었다. 적은 수의 문자와 부호만 가지고 있다가 갑골문자로 제 모습을 갖추어지고 발전한 것은 기적이나 다름없다. 문자가 기록하는 역할을 하게 되면서 사람들은 다양한 사유와 생활에 전반적인 커다란 변화를 갖게 된다.


문자를 통해 이야기를 풀어가는 방식에는 문자가 가진 뜻을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문자를 이해하게 만드는데 주력하고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한자의 모습을 갖추기까지 점차 변화하는 모습이 이해하기 쉽지 않다. 솔직히 어렵다는 표현이 더 맞다. 그럼에도 갑골문이 형성과 발전에는 인류의 변화하는 모습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고 보아도 좋다.


지금이야 시간을 확인하기 위해 시계를 차고 다니는 사람이 예전보다 적다. 시계가 필수품이 아니라 하나의 패션용품으로 인식하게 되면서 시계 판매율이 줄어들었다고 알고 있다. 허나 예전에는 시계는 남다른 의미를 가진 필수품이다. 어느 집이나 커다란 벽시계 하나쯤 가지고 있었다. 로마숫자로 된 벽시계가 놓고 갑골문자로 시간을 세는 회의자를 찾아내는 시험이 성공을 거두었다면 우리는 아라비아 숫자나 로마숫자가 아닌 갑골문자로 된 시간을 보고 있었을지도 모른다. 허나 이런 기발한 상상력은 당시 시간관념이 필요치 않은 생활양식으로 인해 실패로 끝난다.


책에 나온 다양한 갑골문을 따라하는 이야기는 어렵지만 흥미롭다. 예전처럼 한자의 중요성이 크지 않는 시대에 살고 있지만 중국이 미국을 앞지르는 시대가 곧 올 것이라 믿기에 영어도 중요하지만 중국어... 중국어를 잘 하려면 한자를 알아야 한다. 한자의 탄생이 어떤 식으로 이루어졌나 조금은 단순하게 생각한 면이 있는데 한자를 통해 시대상황, 생활양식, 사회현상, 사조 등을 통해 대상에 관한 다양한 생각을 이끌어내는 이야기가 흥미롭다. 한 번 읽었다고 이해되는 책이 아니다. 한자를 조금이나마 깊이 있게 알 수 있는 시간이 된 것만은 틀림없다. 한자의 다채로운 이야기를 만날 수 있어 한자어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충분히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