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음식중독 - 뇌를 자극하는 맛의 역습! 더 이상 스스로를 통제할 수 없다
박용우 지음 / 김영사 / 2015년 1월
평점 :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정답은 하나다. 먹어야 산다. 어떤 것을 먹느냐는 분명 사람마다 차이를 보이지만 누구나 먹어야 살아갈 수 있다. 지금은 예전처럼 먹는 것이 힘들던 시절이 아니다. 먹을 것이 넘쳐나는 시대가 되다보니 더 먹는 것이 어려워진 것도 사실이다. 100세 시대를 맞아 오래 사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이 중요한 시점에 어떤 음식을 먹느냐는 그 사람의 건강을 좌우한다.
건강을 이야기 하면서 대두되는 이야기 중 하나는 다이어트다. 자신이 좋아하는 식성대로 음식을 먹다보면 생각지도 못한 결과를 낳게 된다. 좋은 음식을 선택해서 잘 먹는 것이 중요하지만 좋지 않은 음식을 멀리하려는 노력 또한 필요하다. 나의 경우만 보아도 새해가 되면 운동을 해서 살을 좀 빼고 싶은 계획을 세우지만 너무나 좋아하는 빵과 아이스크림, 냉커피 등을 쉽게 끊지 못하기에 살을 빼자는 계획은 슬그머니 자리를 감춘다. 지금은 작년 초에 비해서 3kg 정도 찐 상태다. 원인은 나의 식습관에 있다. 좋아하는 음식들이 하나같이 안 좋은 음식들이고 하루라도 먹지 않으면 찾게 된다. 나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안 좋은 음식들에 중독되어 있는 것이다. 건강을 해치는 음식 중독에서 벗어나는 방법을 국내 최초 비만 전문 의사 박용우님이 '음식 중독'에서 알려준다. 음식의 실체와 음식중독에서 벗어나는 방법... 결코 쉽지 않겠지만 올 목표는 작년에 찐 살을 빼는 것이기에 나 혼자서는 힘든 음식 중독, 뇌를 자극하는 맛의 역습에 대해 알고 싶다.
그동안 저자 박용우님이 나온 프로그램을 몇 번 본 적이 있기에 익히 듣거나 알고 있는 부분들이 있다. 알면서도 쉽게 음식 중독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은 나의 의지 부족도 있겠지만 무엇보다 음식중독에 빠지는 요인 중 하나인 수면 부족이 나의 경우는 가장 큰 요인이라 여겨진다. 난 잠자는 시간은 비슷하지만 깊은 잠을 자지 못한다. 작은 소리에도 민감하게 잠에서 깨는 나는 며칠 잠을 설치거나 잠을 적게 자면 극도로 예민해져 멀리해야 할 아이스크림, 조각케잌, 치킨 등을 더 찾는다. 호르몬의 불균형을 초래하는 수면 장애... 규칙적인 잠자리에 충분한 수면이 절실함을 새삼 느끼게 된다.
식욕억제 단백질인 렙틴... 어디선가 들은 기억은 있지만 '음식 중독' 책을 통해서 확실히 알게 되었다. 렙틴은 지방세포에서 만들어지는 호르몬이다. 많은 비만 환자들에게 넘쳐나는 렙틴이 정작 뇌에서는 부족하다는 착각으로 인해 비만을 초래한다. 비만의 원인이 렙틴 저항성으로 인해 발생한다. 의지와 다이어트만으로 식욕을 억제하고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한 상태이므로 잘못된 뇌의 오류를 부르는 렙틴 저항을 개선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여기에 인슐린 저항성이 코르티솔과 함께 렙틴을 방해하는 가장 강력한 요인으로 이것들 역시 개선하기 위해서는 음식 중독에서 벗어나야만 한다.
나이를 먹을수록 근육량이 적어진다. 근육량이 적어지면 이런저런 건강상의 문제가 서서히 발생하고 살이 찐다. 근육량을 높이는 운동을 해야 한다는 생각이 다시 들며 자기 전에 칼슘제, 마그네슘 보충제 섭취, 12시간 공복 유지, 영양제 챙겨 먹기, 충분한 숙면 등을 따라해 볼 생각이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음식 중독에 빠진다. 특히나 자라나는 아이들이 쉽게 사 먹는 햄버거를 비롯한 음식들에 멀리해야 할 식품들이 많다. 나의 건강과 가족의 건강을 위해 가공식품, 설탕, 정제 탄수화물 등을 조금씩 섭취하며 몸에 이로운 음식을 더 많이 만들어 먹을 생각이다. 올 하반기에는 음시중독에서 벗어나 살이 빠진 날씬하고 건강한 몸을 만들 계획이다. 그 동안 알고는 있었지만 미처 깨닫지 못한 음식중독.. 음식중독에서 벗어나고 싶은 현대인에게 필요한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