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한시 삼백수 : 5언절구 편 우리 한시 삼백수
정민 엮음 / 김영사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한시를 잘 모른다. 학창시절에 배운 것이 전부다. 평소에 우리 역사에 대해 바르게 잘 알아야 한다는 생각을 깊게 갖고 있으면서도 우리 것... 특히나 멋과 흥이 잘 살아 있는 우리 한시에 대해 한 번도 깊게 생각해 본 적이 업다. 한 시가 가진 매력이 무엇인지 느껴 본 적이 없다는 말이 맞을 것이다. 우리 한시의 아름다운을 새롭게 느끼고 만날 수 있는 '우리 한시 삼백수 : 5언절구 편'을 통해 한시 속에 다양한 이야기들을 담아낸 우리 선조들의 깊은 지혜를 만날 수 있다.


꾀꼬리     (신숙주)

오랜 병으로 한가함 얻어

초록 그늘 밑 공연한 탄식.

꾀고리 날더러 일어나라고

동산서 며칠째 울고 있다네.


꽃구경     (박지원)

지는 해 어느새 넋을 거두니

위는 밝고 아래쪽은 고즈넉하다.

꽃 아래 노니는 수많은 사람

옷과 수염 제가끔 같지가 않네.


한시 옆에는 한시에 대한 설명이 붙어 있어 마냥 어렵게만 느껴지는 한시에 대한 선입견을 조금씩 밀어내고 한시가 가진 의미를 짚어볼 수가 있다. 다양한 주제와 그에 대한 해설을 읽으며 한시를 적은 저자의 당시 상황과 심정을 생각해 보게 된다. 결코 한시가 쉽다고 말하기 어렵다. 그럼에도 한시만이 가진 예리함과 멋이 느껴진다. 그동안 미처 알지도 못했던 아닌 알려는 노력조차 해 본적이 없는 한시 만이 가진 우리 고유의 문화를 새삼 알게 된 의미 있는 시간이다. 예전만큼 현대시를 읽는 시간이 적어졌다. 시에 푹 빠졌던 적도 있었는데 생활에 쫓겨 시보다는 소설에 더 많은 감정을 투영하고 있는 나 자신을 돌아보며 앞으로 현대시는 물론이고 기회가 될 때 우리 한시도 종종 읽어 볼 생각이다. 우리 한시 삼백수 (5언절구 편)를 통해 한시가 주는 서정적 아름다움에 빠진 시간이었고 한시를 모르거나 사랑하는 사람들 모두에게 이 책은 특별한 시간을 선사할 거란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