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 플러스 원 - 가족이라는 기적
조조 모예스 지음, 오정아 옮김 / 살림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 비포 유'로 엄청난 인기를 누린 저자 조조 모예스의 새로운 작품이 나왔다. '원 플러스 원'... 제목을 산수로 생각하면 하나 더하기 하나니 둘일까? 아님 하나.. 그것도 아니면... 무엇인가 아리송한 대답을 구하는 제목이지만 사실 이 책은 진한 감동을 안겨주는 가족이란 무엇인지, 가족의 사랑을 재확인할 수 있는 책이다.

 

사는 게 버거운 가족들이 있다. 제시카 레이 토머스 일명 제스는 매일매일이 힘겨운 일상인 두 아이의 엄마다. 낮에는 가사도우미로 밤에는 바에서 일하며 아이를 키우고 생활을 이끌어 가기 위해 두잡을 병행하는 가장이다. 그녀의 아들 니키는 다른 소년들과 다른 모습을 하고 다녀 학교에서 따돌림을 당하며 점점 더 움츠러든 모습을 지닌 소년이다. 뛰어난 수학 능력을 가진 천재 소녀 탠지는 제스의 어깨에 놓인 버거운 짊에 희망이 되는 존재다. 이들과 함께 살고 있는 덩치 큰 개 로먼은 가족이란 묶여 살지만 매일이 자신들이 가진 버거움이 있기에 힘들게 살고 있다. 감당 못할 덩치의 개 로민, 니키와 탠지, 싱글맘 제스와 얽히는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일하는 에드 니콜스.. 남부럽지 않은  삶을 영위하던 그에게 매력적인 모델과의 뜨거운 만남이 그를 한 순간에 범법자로 만들어 버린다.  

 

제스는 탠지를 아끼는 선생님으로부터 한 통의 전화를 받고 눈앞이 깜깜해진다. 탠지의 마음을 알기에 도저히 묵인할 수 없는 전화다. 딸을 위한 행동을 할 수밖에 없다. 제스는 선의를 베풀려던 행동 중에 우연히 발견한 습득물... 아주 잠시 주인의 허락 없이 탠지를 위해 사용하기로 한다.

 

전 남편의 차를 끌고 나왔다가 경찰관에게 잡힌 제스 일행... 그들의 모습을 우연히 본 에드는 그들을 도와주기로 한다. 불편한 제스의 마음과는 달리 에드는 다음날 그들의 집 앞에 나타나고... 좁은 자동차 안에 네 명의 사람과 큰 개 로민이 시험 치러 가는 길에 동행게 된다. 흔히 생각하는 수순을 밟아 간다는 느낌이 없지 않다. 함께하는 시간 속에 서로의 모습이 보이고 잠을 제대로 이루지 못하고 말이 없는 니키가 가진 고민을 에드는 알게 된다. 가족이기에 보지 못하거나 무심히 지나쳤던 니키의 고민을 에드만의 방식으로 살짝 조언을 한다. 니키는 물론이고 탠지, 제스에게도 점점 더 에드의 존재는 커져만 간다. 에드 역시 이 가족과의 여행이 처음 생각과는 다르게 유쾌해지기 시작한다. 헌데 외면하고 싶지만 외면할 수 없는 커다란 사건과 아버지의 병세... 에드와 제스의 가족은 서로가 가진 아픔에 어느새..

 

투잡을 하면서까지 열심히 살려는 싱글맘 제스의 억척스러움이 당연한 것일 수도 있겠다는 싶은 생각이 들 정도로 무척이나 안쓰럽고 같은 여자이기에 이해가 된다. 그녀의 안타까운 현실이 다가올수록 뻔뻔한 전남편에 대한 감정이 배가 된다. 우리나라 역시 이런 남자들에 대한 이야기는 TV만 틀어도 심심치 않게 나오기에...

 

세상에서 가장 큰 고민은 사람관계라고 한다. 에드가 놓인 현실적인 문제 역시 사람 때문에 일어난다. 에드를 난처하게 만든 사건이 발생하지 않았다면 제스와 에드가 만날 확률은 아주 낮았을 거 같다. 그만큼 에드는 상류층 사람들의 모습을 가지고 있고 제스는 반대의 모습이다. 능력 있는 에드와 달리 직장에서 쫓겨나면 당장 내일 일을 걱정해야 하는 제스은 지금 우리 사회가 힘겨운 사람들의 모습과 닮아 있다. 요즘 최고의 인기 드라마로 꼽는 미생 역시 계약직인 장그래의 고민이 바로 전에 나와 안타까움을 느끼게 한다.

 

결코 편하지 않은 여행길에서 서로의 존재를 발견하고 서서히 마음을 열어가는 에드와 제스 가족의 모습이 따뜻하게 다가오며 뭉클한 감동을 전해주는 부분도 있다. 가족의 소중함을 새삼 느끼게 해주는 이야기에 빠져 즐겁게 읽었다.  만루 홈런과 같은 통쾌함은 아니더라도 배짱이처럼 굴었으니 당연히 해야 할 도리를 하게 만든 일이나 다른 사람을 통해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모습에 미소가 지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