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꽃밥 - 제133회 나오키상 수상작
슈카와 미나토 지음, 김난주 옮김 / 예문사 / 2014년 11월
평점 :
평소에 단편보다는 장편을 좋아하는 편이지만 단편 중에서도 마음에 드는 작품을 만나면 기분이 좋다. 현실과 판타지가 절묘하게 조화를 이룬 나오키 상에 빛나는 슈카와 미나토의 '꽃밥'... 꽃밥이란 제목도 무척이나 마음에 들지만 욕조속에 앉아 있는 한 소녀의 모습이 상당히 감각적이란 생각이 드는 책이다.
총 6개의 단편으로 되어 있는 '꽃밥' 중에서 제목과 같은 꽃밥이 가장 마음에 들었던 작품이다. 전생을 안다는 것은 어떤 느낌일까? 자신이 현재 부모님이라 부르는 사람이 있지만 전생에 또 다른 부모님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기에 만나고 싶은 마음이 이해가 된다. 특히나 자식이 누군가에 의해 어이없이 젊은 시절에 죽음을 맞게 된 것이 자신의 탓인 것만 같아 해골처럼 보이는 거을 알면서도 아무것도 먹지 않고 지낸다면 당장 달려가 자신의 죽음은 당신의 탓이 아니니 그만 남은 인생을 즐겁게 사시라고 말해주고 싶은 욕구가 막 생길 것 같다. 실제로 아버지의 너무 이른 죽음과 생활 전선에 뛰어든 어머니로 인해 여동생을 돌보아야 하는 오빠가 어느 날 낯설게 느껴지는 여동생의 비밀을 알게 되고 여동생의 마음을 이해하기에 도움을 주려는 행동을 담은 '꽃밥'은 그래서 더 따뜻하고 예쁘게 다가온 책이다.
도까비의 밤은 다른 나라에서 태어나고 자란 사람을 바라보는 타인의 시선과 그 시선 속에서도 마음을 여는 친구를 만나고 마음을 나누지만 어리기에 주위 시선으로 인해 외면해야 했던 친구의 모습을 담은 이야기다.
개인적으로 마음에 끌리지 않았던 작품이었던 요정 생물... 살아있는 낯선 존재에 대한 경이로운 느낌은 그럴 수 있다지만 어른들이 보여주는 행동은 이해하고 싶지 않다. 그로인해 상처를 가져야 하는 것은 결국 어린이기에...
불가사의한 힘이 작용한 '참 묘한 세상'은 웃으면서 읽은 단편이다. 세상에나 사람의 욕심은 끝이 없다지만 죽어서까지 자신과 관련 있는 여인들의 배웅을 받고 싶어하는 남자의 심리는 무엇인지... 알다가도 모를 이야기에 기분이 좋아진 이야기다.
사실 섬뜩함이 느껴지는 이야기라면 단연코 '오쿠린바'를 꼽고 싶다. 이런 능력을 지니는 것이 과연 옳은 일인지.. 흔들리는 인간의 마음으로 인해 하지 말아야 할 실수를 하게 되는 능력은 안 갖고 있는 것이 낫다는 생각이 든다.
얼음 나비는 사람들로부터 외면당하는 가족을 모습을 담은 이야기는 조금 다르지만 우리네 현실과 너무나 닮아 있다. 편견은 결국 어른들이로 인해 아이들에게 옮겨간다. 왕따를 닮은 소년과 생계를 위해 힘든 삶을 살고 있는 누군가의 누이와의 만남이 전해주는 쓸쓸하고 안쓰러운 삶이 참 버거운 사람들의 모습이 아프게 다가온 이야기다.
어른의 시선이 아닌 아이들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풀어놓은 이야기는 색다른 재미와 쓸쓸하고 잔잔하게 들려주는 단편소설만이 가진 힘이 느껴지는 이야기다. 자신이 끌리는 단편을 골라서 읽는 재미도 있고 나 같이 처음부터 읽어내려가도 좋은 책이다. 나오키 상을 수상한 작품이라는 이름에 끌리고 번역자인 김난주란 이름에 한 번 더 끌려 선택한 책이지만 일본소설의 색깔이 느껴지는 이야기에 빠져 즐겁게 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