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 짓하다 프로파일러 김성호 시리즈
김재희 지음 / 시공사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기에 따라서는 상당히 다른 느낌을 주는 제목 '섬, 짓하다'... 섬짓하다란 글로 처음에 보았다가 아니네 다시 읽어보며 왜 이런 식으로 제목을 붙였을까 궁금증이 생긴다. '섬, 짓하다'의 작가 김재희씨는 전작 훈민정음 암살사건, 경성 탐정 이상을 통해 이미 검증된 작가다. 들어는 보았지만 저자의 작품은 처음이라 내심 기대감을 안고 읽었는데 우리나라 작가의 장르소설도 세계 어디에 내놓아도 괜찮다는 느낌을 준다.

 

심리학 석사 출신으로 경장에 특채되면서 서울경찰청 과학수사센터 범죄행동과학계에  들어온 주인공 김성호... 그는 미해결 사건을 해결하는 남다른 능력을 인정받는 유능한 프로파일러다. 그는 이제 겨우 16세 소년이 성형을 한 여성을 인터넷상에서 공격했다가 여성으로부터 고소를 당하자 이에 앙심을 품고 살인을 저질렀다는 혐의를 받고 잡혀 온 소년을 심문하게 된다. 소년과 이야기를 나누며 소년이 범인이 아니란 느낌을 받고 자신의 의견을 나누던 중 생각지도 못하게  소년이 자살을 시도했다는 소식이 들리면서 성호를 향한 비난이 쏟아진다. 이 일로 인해 그는 다른 여성프로파일러가 맡기로 한 삼보섬 실종사건을 맡게 된다.

 

TV 프로그램에서 방송되면서 삼보섬 실종사건은 세간의 화제가 된 중요사건으로 떠오른다. 국립민속박물관 소속 직원  여도균과 함께 삼보섬으로 향하는 김성호... 귀신이 보인다는 여도균의 말을 믿지는 않지만 이상하게 그가 거슬린다. 삼보섬에 도착하자마자 강력계 팀장과 지역유지로부터 거하게 대접 받지만 성호는 이 모든 상황이 불쾌하기만 하다. 빨리 사건을 해결하고 싶은 마음이 가득한데.... 세 명의 실종자는 전혀 연관성이 없다. 도대체 그들은 어디로 누구에 의해 사라졌는지 알 수 있는 단서가 하나도 없다. 유일하게 범인과 관련해 단서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지문과 DNA가 검출되지 않은 범인이 보낸 것으로 추정되는 편지뿐이다. 성호는 분명 편지를 보낸 사람은 삼보섬 운림산방에 와 본 적이 있는 사람이란 확신이 든다. 단서를 잡았다고 생각하고 CCTV를 확보하지만 이 역시 쉽지가 않다.

 

사건을 풀어가는 과정에서 수시로 성호를 힘들게 하는 일이 발생한다. 다름 아닌 어린시절 기억... 힘이 없다기에 친구가 당하는 것을 그냥 옆에서 보면서 전혀 도움을 줄 수 없는 상황이 미치도록 후회가 단다. 그 시절 피해 친구는 어디서 무엇을 하는지 한 번씩 그는 옛 친구를 떠올린다.

 

단서를 찾지 못한 상태에서 김성호는 자신이 해킹 당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자신이 해킹 당했다면 다른 사람도 충분히 가능하다. 해킹에 대한 문의를 해 놓은 상태에서 동료 경찰은 성형수술 때문에 죽은 여자를 공격했던 인터넷 사이트의 주인장을 수소문하게 된다. 그녀의 당당함은 전혀 다른 방향에서 해결점이 나타나고 그로인해 아주 중요한 결정적 단서가 모습을 드러낸다.

 

사건 현장 감식하는 능력도 뛰어나고 사건에 대한 직관력, 판단력도 뛰어나지만 자신만의 사건에 대한 확실함이 느껴진다면 밀어붙이는 행동도 서슴지 않기에 그는 같이 일하는 형사와 갈등을 겪기도 한다. 미국 드라마 CSI를 통해서 프로파일러가 얼마나 유능하게 사건의 결정적 단서를 발견하고 해결해 나가는지 보았다. 우리나라에도 이런 일을 하는 프로파일러 분들이 분명 계시겠지만 한 번도 전면에서 그들의 모습을 본 기억이 없다. 사건 해결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해내는 인물 프로파일러 성호... 그가 가진 어린시절 트라우마는 학교폭력이 가진 어두운 우리의 사회현실이다. 그래서인지 성호란 인물이 가진 고뇌, 상실감, 상처, 고통 등이 이해가 가고 충분히 현실 속에서 성호와 같은 인물들이 존재하기에 스토리가 현실감 있게 다가온다.  

 

저자의 작품은 처음인데 내가 좋아하는 미스터리 소설이라 기대감을 읽은 만큼 재미도 있었다. 이 한 권의 책으로 끝나는 것이 프로파일러 김성호 시리즈가 계속해서 나올 듯싶다. 그의 다음 이야기는 무엇일지 벌써부터 기대하게 되고 기다려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