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름을 말해줘
존 그린 지음, 박산호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4년 10월
평점 :
절판
청소년의 로맨스 소설은 풋풋함이 느껴져 마냥 귀엽고 사랑스럽다. 바로 전에 존 그린의 윌 그레이슨, 윌 그레이슨을 읽으며 우정, 사랑, 성 정체성의 혼란을 겪는 고등학생의 모습이 잘 나타나 있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이름을 말해줘' 역시 청소년의 사랑이 엉뚱하면서도 유쾌하게 그려지고 있다는 느낌을 받는다.
열아홉 살의 신동이라 불리우는 콜린 싱글턴은 열아홉 번째 실연을 당한다. 세상에나 태어날 때부터 일 년에 한 명 꼴로 사귄 셈이 되는 것인데 매번 차이며 이별을 맞지만 콜린이 분명이 매력이 있는 소년임에는 틀림없다는 생각이 든다.
콜린이 여태껏 사귀고 차인 소녀들의 이름은 하나같이 캐서린... 어떻게 같은 이름의 소녀를 매번 사귀는 것인지... 콜린이 혹시 캐서린 이름에 집착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마저 든다. 한 살 위인 아랍계 부잣집 청년 하산은 콜린이 느끼는 실연의 고통과 자책에서 벗어나게 도와주기 위해서 콜린의 손을 잡아끈다. 그들이 선택한 방법은 무작정 떠나는 자동차 여행... 목적도 이유도 없는 여행을 시작한다.
여행 중에도 콜린은 수시로 얼마 전에 헤어진 캐서린을 떠올리며 그녀를 그리워한다. 그녀를 떠올리며 자신만의 이론을 내세운 차이는 사람과 차는 사람으로 나눈 이분법 모양의 수학공식을 만들어낸다. 잡화점에 들어갔다가 점원이자 가이드를 겸하고 있는 린지 리 웰스를 만나게 된다. 증조할아버지가 세운 방직 공장의 오너인 린지의 어머니는 콜린을 기억해 낸다. 두 사람은 린지의 집에서 기거하며 그녀의 어머니가 시키는 지역주민을 상대로 간단한 조사를 의뢰 맡는다.
매번 차인다는 것도 쉽지 않은데 그것을 수학공식으로 풀어낸다는 설정이 흥미로운 이야기다. 단 12일 밖에 사귀지 않은 세 번째 캐서린으로 인해 콜린의 연애 공식은 제 모습을 갖지 못하면서도 끊임없이 수학공식으로 풀어내려는 콜린의 모습이 귀엽고 여기에 매력적인 다른 캐릭터들의 이야기기 재미를 더해준다. 캐서린에게 매번 차이면서 자신을 한물간 신동이라고 표현하는 콜린 싱클턴은 조금은 못나 보이지만 항상 주목 받는 것에 익숙했기에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고 중심에 있고 싶어 한다. 반면에 아랍, 유대인 피가 반반 섞인 하산은 대학에 들어가기 보다는 몸을 찌우며 펑펑 시간을 허비하고 싶어 하는 인물이다. 상당히 뚱뚱하다고 여성들에게 매력이 없는 것도 아니다. 매력적인 여대생과 사랑에 빠지고 린지도 콜린보다는 하산에게 매력을 느낀다. 다만 이 여대생이 린지와 관련 있는 인물과 함께 있는 모습을 하산, 콜린이 보게 된 것이 문제지만...
이 책이 성장기 청춘들의 사랑, 이별을 담고 있는 것만은 아니다. 뻔히 알고 있지만 다른 사람을 생각하는 우유부단한 마음이 더 큰 화를 불러 올 수 있는 상황으로 내몰리는 현실의 아픔도 담고 있다. 이렇게 좋은 사람이... 세상에는 좋은 사람만으로 살아가기에 결코 쉽지 않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된다.
콜린, 하산, 린지는 더 나은 어른으로 분명 성장해 갈 것이다. 그 과정에서 그들은 똑같이 사랑하고 이별하고 상처를 주고받으며 어른이 될 것이다. 수학공식하면 항상 머리가 아픈 나였는데 콜린이 풀어내는 수학공식은 엉뚱한 만큼 유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