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결혼 - 바다에 나갈 때는 한 번 기도하고 전쟁터에 나갈 때는 두 번 기도하고 그리고… 결혼할 때는 세 번 기도하라 ㅣ 살림지식총서 500
남정욱 지음 / 살림 / 2014년 10월
평점 :
결혼은 해도 후회해고 안 해도 후회 한다고 말할 정도로 결혼은 쉽지 않다. 오직하면 바다에 나갈 때는 한 번 기도하고, 전쟁터에 나갈 때는 두 번 기도하고, 그리고... 결혼할 때는 세 번 기도하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결혼은 신중하고 신중해서 선택하는 인생일대의 쉽지 않은 선택이다.
결혼은 곧 현실이다. 결혼 전에는 결혼에 대한 환상 아닌 환상이 있었다. 그동안 드라마 속 매력적인 왕자님이 현실 속에서는 존재하지는 않지만 그런 왕자님 같은 나만의 누군가가 꼭 있을 거란 말도 안 되는 상상을 했던 적도 있었다. 허나 시간이 흐르고 막상 결혼을 하고 결혼생활을 보내면서 내가 꿈꾸었던 결혼은 이게 아닌데 하는 생각을 했던 적도 있다. 누구나가 꿈꾸는 행복한 결혼이 가진 본질이나 결혼의 의미, 올바른 결혼 생활을 영위해 나가기 위한 필요한 자세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 볼 수 있는 책 '결혼'... 살림지식총서 500호를 맞아 나온 책으로 너무나 얇은 두께에 담긴 결혼의 역사에 놀라게 되고 감탄하며 흥미진진 다가온다. 결혼이란 제도가 어떤 식으로 시작되었으며 어떤 방식을 거쳐 흐르고, 정착했는지... 더불어 지금 우리시대가 가진 결혼의 모습과 앞으로 미래의 결혼은 어떤 방향으로 흘러가야 하는지에 대해 생각해 보게 만든다.
결혼을 하는 신부의 머리에 쓰는 면사포는 북유럽 게르만족의 변형된 유물이라고 한다. 더군다나 결혼이란 모습 자체가 약탈혼의 잔재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로마인들의 아내만들기는 매매혼은 약탈혼과 함께 지금의 혼인 문화 속에 교묘하게 위장 된 모습으로 자리 잡고 있다.
지금 우리 사회는 고령화 문제와 더불어 젊은이들의 늦은 결혼과 저출산이 가장 큰 문제로 자리잡고 있다. 지금이야 여성들의 지위가 높아지고 사회적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시대라 자신을 위해 결혼과 출산을 미루거나 하지 않으려는 이유로 인해 인구가 감소하는 현상이 일어난다. 그 옛날 결혼이란 제도의 시작은 유럽 사회에서 인구가 늘어나는 것을 걱정한 나머지 여아들을 살해하는 풍습이 공공연하게 자행되었고 이로 인해 여자들이 부족하니 남성들은 자연스럽게 여자를 약탈하게 되면서 약탈혼이 생겨났다. 여자들을 약탈 해와도 여자들의 숫자는 턱없이 부족하다. 할 수없이 여자들이 모자라기에 일처다부제가 생기고 모권제가 강화가 배경에 깔리게 된다.
서양이 가진 모습과 별반 다르지 않은 동양의 결혼 문화... 여기저기에 약탈혼에 대한 흔적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북방 유목민족에게 볼 수 있는 형사취수는 고구려의 결혼제도에서도 있었다. 죽은 아버지의 여자들을 전부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이는 수계혼은 중국 당나라 황실에 볼 수 있다. 대표적 인물 측천무후와 중국의 4대 미녀 중 한 명인 왕소군의 이야기는 너무나 유명해 누구나 알고 있을 정도다.
시대가 바뀌어 '겉보리 서말만 있으면 처가살이 하랴'란 말은 옛말이 되어가고 있다. 정상적으로 직장에 취직해서 결혼하고, 자식을 낳고, 집을 사고, 노후를 준비하는데 혼자 힘으로는 어렵기에 자연스럽게 자신의 부모나 처가의 덕을 보려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여러 이유를 들어 처갓집에 들어가 생활하는 사람들도 늘고 있다. 처가살이에 대한 인식이 바뀐 지 얼마 되지 않지만 사실 알고 보면 처가살이는 오랜 우리 전통 생활 속에 존재했다. 고구려, 삼국시대, 조선 초기만 해도 처가살이는 흠이 되지 않았다. 조선중기 성종때 들면서 여성들의 재혼을 금지하면서부터 바뀌었다.
작년에 오랜 시간 솔로생활을 그만두고 결혼을 한 친구가 있다. 나이가 있기에 남성 하나만을 보고서 결혼한다는 친구의 선택에 옆에서 훈수를 둘 입장은 아니지만 친구들 역시 찬반 의견이 엇갈렸다. 친구들은 어느 정도 결혼생활을 이어오다 보니 자연스럽게 훈수 아닌 훈수처럼 자신의 결혼생활을 털어놓게 되었다. 결혼이란 제도가 가진 모습이 아직도 여자들에게 얼마나 힘든지.. 결혼생활의 가장 큰 문제가 경제적인 이유란 것이 씁쓸하면서도 현실이기에 친구들 모두 공감했던 기억이 아직도 남아 있다.
요즘 우리들이 하는 결혼은 마치 비지니스와도 같다는 말에 전적으로 공감한다. 연애따로 결혼따로란 말을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풍토가 정착되어 가고 있다. 결혼을 생각하는 본인이 가진 지위, 능력, 부 등은 물론이고 부모님 더 나아가 조부모의 영향력까지 따진다는 이야기에 놀라게 된다. 그래서인지 너무나 좋은 조건의 남자를 만나 결혼할 수 있다고 생각한 가수 이효리씨가 이름도 낯선 가수와 사귀고 결혼한다는 것이 놀라웠다. 결혼도 온갖 후원을 받을 수 있지만 극소수의 지인들만 모여 조촐하게 이루어진 결혼식 사진은 정말 대단하단 생각과 함께 이효리씨 너무나 멋지단 감탄사를 부르게 만들었다. 저자의 말처럼 자신의 확고한 생각을 가진 더 쎈 이효리씨가 많이 나온다면 우리나라 결혼 문화에 변화가 조금씩 일어나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든다.
결혼이란 게 결론은 서로 다른 생활을 했던 두 사람이 만나는 것이다. 다른 환경에서 살아왔기에 어긋나거나 삐걱거릴 수 있다. 그럼에도 수많은 사람들 앞에 맹세한 것처럼 100세 시대에 맞춘 결혼생활을 이어가면 좋을 듯싶다. 물론 책에서 나온 사례처럼 서로에게 불시에 찾아 온 사랑을 인정하는 것은 어렵겠지만... '살림지식총서 500호 결혼'은 결혼에 대해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여러 가지를 알게 된 책이다. 결혼의 역사, 문화, 현재, 미래의 모습을 들여다 볼 수 있어 흥미로웠고 미래의 결혼은 지금과 많이 다르겠지만 물질만을 우선시 하는 결혼이 아닌 다만 돈만을 위하여 결혼하는 것보다 더 나쁜 것은 없고 다만 사랑만을 위하여 결혼하는 것보다 더 어리석은 일은 없다는 존슨의 말을 잘 생각하며 결혼할 상대를 만나고 결혼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