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너무 늦기 전에 들어야 할 죽음학 강의 - 행복하게 살기 위해 꼭 필요한 공부
최준식 지음, 김호연 그림 / 김영사 / 2014년 7월
평점 :

태어나면 반드시 죽는다. 당연한 자연의 이치를 알면서도 사는 동안에는 죽음을 생각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자신과 연관이 된 직접적인 경우가 아니면 더더욱 죽음을 가까이 느끼기 어렵다. 나만해도 우리 4형제와 함께 지낸 외할머니를 제외하고는 죽음을 가까이 느껴 본 적이 없다. 그래서인지 죽음은 조금 먼 거리에 있다는 생각을 하고 지낸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잘 먹고 잘 누리며 사는 데 집중 된 삶을 살아간다. 아직은 젊기에 가까운 미래에 죽음은 나와는 별개의 일이라 여기며 지내지만 진짜 행복하게 잘 사는 방법은 죽음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 보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는 것을 새삼 알게 된다.
잘 먹고 행복하게 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제대로 죽음을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하다. 죽으면 끝이라는 생각을 하고 살고 있었는데 죽은 후의 세상이 실제로 존재한다니.. 더군다나 자신의 죽음을 느끼고 영계의 시간으로 떠나기 전에 짧은 시간 의식이 있어도 살아 있는 가족, 자신의 육체에 미련을 두어서는 안 된다. 이 짧은 시간에 정신을 가다듬고 한 군데로 맑은 정신을 모으는 것이 중요하다.
전생에 좋은 일을 했는지, 나쁜 일을 했는지, 다른 사람의 마음에 상처를 주었는지 등의 이유로 현재의 삶이 모습을 갖추는 경우도 있지만 대를 넘어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옛 어른들이 남에게 상처 주는 말이나 행동을 조심하라고 말하는 것이 다 이유가 있다.
영화 개봉 당시 무척이나 무서웠지만 재밌게 보았던 '식스센스'와 케이블 TV이를 통해서 본 '디 아더즈', 여전히 온 국민을 슬프게 하는 세월호 사건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죽음이 얼마나 가까이 존재하는지... 삶과 죽음이 둘이 아님을 인식하고 죽음에 대해 미리 생각을 해보는 것이 중요함을 새삼 느끼게 한다.
나이를 먹고 죽음이 가까이 왔다고 느껴지면 자신도 모르게 종교에 매달리는 경우가 있다. 나의 친척 어르신 중에도 이런 분이 계셨다. 젊은 시절에는 자유롭게 사시다가 나이 들고 여기저기 아프기 시작하면서 생전 찾지 않았던 종교를 가지셨다. 종교를 통해 마음의 위안을 얻게 되셨다는 이야기를 들은 기억도 있는데 책에서는 불교를 비롯한 종교를 통해 사후 세계의 존재에 대해 알려준다.
믿기 힘든 영계의 세상을 알려주는 죽은 사람들과의 조우가 정말일까? 하는 의구심이 들기도 하지만 책을 보면서 지금부터라도 죽음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 볼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나를 넘어 내 자식, 후대를 생각하며 현재의 삶에 충실하고 만족하며 선한 말과 행동을 하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느낀다.
태어날 때는 순서가 있지만 죽을 때는 순서가 없다는 말이 있다. 언제 어떤 식으로 죽음이 찾아올지 모른다. 내가 죽은 후 어떤 모습일지를 생각해 보며 죽음에 대한 공포를 갖기 보다는 매일을 소중하게 여기는 마음으로 가족, 지인 사람들에게 사랑을 표현하며 살아 갈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