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자 밟기 비채 모던 앤 클래식 문학 Modern & Classic
루이스 어드리크 지음, 이원경 옮김 / 비채 / 2014년 6월
평점 :
절판


요 며칠 오랫동안 잉꼬부부로 알고 있던 개그맨 부부의 이혼소송이 TV뉴스를 통해 접하게 된다. 일명 쇼윈도 부부로 다른 사람들에게 보여주는 모습과 실제 부부 생활이 너무나 차이가 나는 부부들... 솔직히 이런 부부들 중에는 유달리 연예인이 많지만 조금만 주위를 둘러보면 현실에서도 어렵지 않게 만나게 된다.

 

열렬히 사랑해서 결혼한 사람들도 시간이 흐르고 생활에 치여 살다보면 사랑이 엷어지고 점점 변화한다. 사랑의 유통기한을 따지는 사람도 있고 경제적으로 살아가는데 크게 불편함이 없으면 사랑보다는 정, 의리로 그냥저냥 부부란 이름으로 살아가는 사람들... 우리 아니 나도 이런 부분이 아주 없지 않다.

 

'그림자밟기'는 저자 루이스 어드리크의 자전적 소설이라고 한다. 소설이란 이름을 갖고 세상에 자신의 이야기를 들어낸다는 것이 얼마나 힘들고 어려운지... 같은 여자라서 그녀의 마음이 이해가 된다.

 

길과 아이린은 인디언의 피가 흐르는 사람들로서 세 아이를 키우는 부부다. 길은 이름이 알려진 화가이고 그가 화폭에 담는 모델은 아내 아이린이다. 아내를 끔찍이도 사랑하는 길은 사랑하는 아내가 자신의 곁을 떠나고 싶어 한다는 자체부터 받아들이기 어렵다. 아이린은 사랑했던 시절로 돌아갈 수 없고 남편이 자신의 일기장을 훔쳐보았다는 이유로 인해 남편에 대한 믿음이 산산조각나기 시작했기에 남자에게 복수하고 싶은 마음에 거짓 일기장을 만들어 따로 쓰게 된다. 하나의 일기장이 아닌 두 개의 일기장... 블루 일기장은 온전히 아이린 자신의 이야기를 담고 있지만 레드 일기장은 남편에게 보여주기 위해 쓰인 거짓 일기이기에 자신의 아내가 불륜을 저질렀다는 흔적을 보는 것만으로도 길은 충분히 고통스럽고 힘들기에 아내에게... 

 

 예술가들은 일반인보다 좀 더 섬세한 정서를 가진 사람들이란 생각을 하고 있다. 길의 경우만 보아도 그 자신이 너무나 아내를 사랑하지만 좀 더 멋진 그림을 그리기위해서는 아내와의 거리가 필요하다. 그의 완벽한 작품들은 하나같이 아내에게 느끼는 거리감, 질투, 분노와 같은 격한 감정들 속에 탄생한다니... 이런 그의 마음이 시간이 흐르면서 사랑을 원하는 아내의 마음에 상처를 입혔을 것이고 여기에 아내가 가진 생각들로 인해 상처받은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 본다.

 

가정이란 커다란 울타리에 남편, 아내를 넘어 아빠, 엄마의 존재는 자식들에게는 커다란 기둥이다. 원만하지 않은 부모님의 모습을 보면서 자라는 세 아이들... 특히나 밑의 두 자식들보다 남보다 뛰어난 머리를 가지고 있는 수학 천재로 똑똑한 첫째 아들 플로리언이 받았을 상처는 크다는 생각이 든다.

 

다른 부부의 이야기는 말하기 쉽다. 사람관계가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닌 경우가 많은 것처럼 실제를 알게 되면 놀라는 경우가 꽤 많다. 특히나 살을 맞대고 사는 부부의 경우 남들이 알지 못하는 속사정이 누구에게나 존재한다.

 

사랑이 전부는 아니지만 사랑과 신뢰가 바탕이 되어야함은 맞다. 남편에 대한 믿음과 사랑이 사라지면서 매일매일 곁을 떠났으면 좋겠다고 느끼며 사는 여자와 너무나 사랑하기에 소유하고 싶고 모든 것을 자신의 통제 안에 두고 싶은 남편과의 대립... 사랑이 집착으로 치달으면서 두 사람의 미래는 끝이 보이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유명  화가들이 자신의 사랑하는 애인이나 아내를 그림에 담는 일은 흔하다. 길 역시 사랑하는 아내의 모습을 그림으로 담을 때 가장 행복했을 것이다. 화폭에 담겨진 그림을 통해서 사랑이 들어나는 길과 아이린... 이 두 사람의 사랑과 아픔, 마지막이 아프게 다가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