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별을 담은 배 - 제129회 나오키상 수상작
무라야마 유카 지음, 김난주 옮김 / 예문사 / 2014년 5월
평점 :
절판
나오키상 수상작품이란 글귀가 가장 먼저 시선을 잡아 끈 무라야마 유카의 '별을 담은 배'... 여섯 편의 단편으로 이루어진 삼대에 걸친 한 가문의 이야기는 한 편의 장엄한 드라마를 보는 듯 한 착각을 일으키는 작품이다.
여섯 편의 단편소설 속에는 각자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자신과 가족의 모습이 슬프고 애잔함을 갖게 한다. ‘미즈시마 가(家)'를 이끌고 있으면서 무섭고 폭력적이며 엄한 모습의 아버지상을 보여주는 시게유키로 인해 그의 자식들과 아내들은 하나같이 마음의 상처를 간직하게 된다. 시게유키 역시 전쟁을 몸으로 직접 겪은 세대로서 그의 고통이 어디에서 오는지... 그가 가족들에게 친절하지도 다정하지도 못했던 이유와 후회 섞인 탄식이 예전 우리의 가부장적인 아버지들의 모습을 많이 닮아 있다는 생각이 든다.
스토리의 시작은 시게유키의 둘째 아들 ‘아키라’가 어머님이 위독하다는 소식에 오래전에 떠났던 고향으로 향한다. 허나 안타깝게도 그가 도착하기 바로 전에 어머니는 세상을 떠났다. 자신을 낳아주지는 않았지만 자신을 아끼고 사랑해 주었던 인정 많은 새엄마의 죽음보다 그녀가 아버지 시게유키와 합치면서 데리고 온 딸 '시에'와의 재회가 아키라는 더 신경 쓰인다.
소꿉친구로 자신을 향한 깊은 사랑을 보여주는 남자친구와의 결혼에 자꾸만 미적거리게 되는 시에.. 그녀를 단단히 옭아매고 있던 끈은 어머니의 죽음으로 다시 만나게 된 작은오빠 아키라로 인해 흔들린다. 보호받아야 할 상황에서 오히려 그녀의 잘못처럼 느껴지게 만든 부모님의 한 마디로 인해 그녀는 움츠려 든 어린 시절을 보내게 된다.
일과 가정에 완벽한 아내와 성실하고 또래에 비해 예의바른 자식들을 둔 장남 미쓰구... 그는 가정에 불만은 없다. 허나 어느 날 우연히 젊은 여직원을 알게 되고 그녀의 젊음에 이끌려 외도를 하게 된다. 가정, 젊은 여자와의 관계에서 한 발자국 떨어져 혼자만의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장소를 찾게 되는데...
막내라는 특권을 온전히 누리며 자란 막내딸 미키... 그녀는 항상 누군가의 짝이 있는 상대와 관계를 맺는다. 죄의식을 느끼지 않지만 이런 그녀의 행동 뒤에는 그녀에게 배신감을 안겨 주었던 아키라와 사에 언니와의 금지된 사랑이 어느 정도 밑바탕에 깔려 있고 폭력적이고 엄한 아버지와 한 없이 다정하고 착하기만 한 어머니 시즈코와의 관계도 영향이 있다.
장남 미쓰구의 딸이자 시게유키의 손녀 사토미... 예쁘다는 소리를 못 듣는 외모에 모든 학생들이 좋아하는 단짝친구를 가진 사토미... 허나 그녀의 단짝친구는 사토미의 오랜 소꿉친구와 연인 사이가 되어 있고 두 사람의 바라보는 사토미의 마음과 학교 폭력으로 인해 소중한 친구에게 상처를 남기고 만다.
미즈시마 가(家)를 이끌고 있는 시게유키를 통해서 전쟁이 주는 상처와 고통이 얼마나 큰지 새삼 알게 해준다. 일본인의 시선으로 행동하던 그에게 위안부로 끌려 온 야에코... 강미주와의 만남은 나라를 떠나 두 사람만의 교감을 형성한다. 잠재되어 있던 의식 뒤에 묻어 둔 미주의 본성을 깨어나게 한 것이 계기가 되어 그녀는 죽음을 맞게 된다. 전쟁이 지닌 어두운 모습과 위안부 여인들이 겪은 고통이 온전히 느껴져 아프게 다가오는데 책은 과거사와 위안부에 대한 반성을 도통하지 않는 요즘 극우주의 일본인들과 다른 모습을 가지고 있어 다행이다 싶다.
단편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서로의 이야기는 연결성을 가지고 있어 미즈시마 가(家) 사람들의 아픔과 고통, 슬픔이 잘 스며 있어 그들을 이해하게 되고 그 슬픔에 마음이 안타까워진다. 여성 작가가 가진 섬세함이 잘 느껴지는 작품으로 책 속에 빠져 들게 만드는 흡입력 역시 좋다. 드라마보다 더 드라마 같은 가족사를 가지고 있기에 영화나 드라마도 만들어져도 좋겠다는 생각이 드는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