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인 - 개정판
알베르 카뮈 지음, 이정서 옮김 / 새움 / 201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시대를 넘어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는 고전 작품들은 하나같이 내용을 뛰어 넘어 넓은 공감대를 이끌어 낸다고 생각한다. 간혹 고전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작품들을 읽어도 내 마음을 흔들거나 기억에 남지 않는 작품들도 보게 된다. 내 문학적 역량이 많이 부족한 면이 있고 개인적인 취향도 있겠지만 전반적인 스토리는 어느 정도 이해가 되지만 책을 읽으면서 받는 감동의 크기는 번역가가 누구인가에 따라 책에 대한 느낌은 생각보다 크다. 지금까지 우리가 읽은 알베르 카뮈의 '이방인'은 읽은 것이 아니란 강렬한 문구를 담은 책이 나왔다. 솔직히 알베르 카뮈의 이방인 워낙 유명한 것은 알고 있었고 학창시절이 한 번 읽었기에 특별히 기억이 나지 않아 비교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지만 책의 절반을 번역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따로 담았을 정도로 번역에 대한 남다른 심혈을 기우린 작품이란 것은 알겠다.

 

주인공 뫼르소는 경제적인 이유도 있고 어머니와의 대화 단절이 점점 심해지기에 어머니를 생각해서 양로원에 모시게 했다. 어머니가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접하고 양로원으로 향한다.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뫼르소는 어머니의 마지막 모습에서 슬픔이나 안쓰러운 마음을 느끼기 보다는 자신과 전혀 상관이 없는 타인의 죽음을 바라보는 것처럼 차분하고 동떨어져 있다는 느낌이 들게 한다. 뫼르소보다 죽은 어머니의 이성친구분이 더 가족처럼 슬픔을 억누르지 못한다.

 

여자 친구 마리와의 관계에서도 뫼르소는 자상하거나 친밀한 모습의 연인은 아니다. 시크하고 차가운 느낌의 남자친구로서의 모습을 가진 그... 여자 친구가 결혼하고 싶어 하는 마음을 알면서도 자신이 아닌 그녀의 뜻에 따른 결정에 순응하겠다는 조금은 비겁한 모습을 보인다.

 

뫼르소는 이웃 남자를 만나고 그와 관계를 맺게 되고 폭행사건에 휘말린 위기에 처한 남자를 도와준다. 솔직히 남자를 도와주는 주인공이 마음에 들지 않았다. 남자가 하는 일이 결코 좋은 일이 아닐 뿐더러 여자를 때리다니... 남자를 따라 그의 친구 집을 방문하게 된 뫼르소와 그의 여자 친구 마리... 남자와 그의 친구가 다른 사람과의 싸움에 휘말리고 전혀 상관없는 뫼르소는 남자가 주는 총을 받아든다. 뫼르소는 상관없는 사람이지만 어머니의 장례식과 같은 햇살을 보며 총을 발사한다. 보기에 따라서는 정당방위를 내세울 수 있는 상황이다. 허나 뫼르소를 둘러싼 증언들은 하나같이 그가 가진 차가운 면을 부각시킨다. 뫼르소가 사형을 받아야 하는 상황에서도 어머니를 떠올리지만 이 것 또한 모르쇠와는 따로 떨어진 느낌을 준다. 

 

스토리가 짧은 책이고 내용도 괜찮다. 스토리보다는 번역에 얽힌 이야기를 더 많이 풀어냈다는 느낌이 들게 하는 면도 있지만 우리나라에 들어오는 많은 작품들이 번역가에 따라 느낌이 다르기에 이해가 된다. 잘못된 번역을 바로 잡아주는 일이 시급한 것이 사실이다. 나의 경우는 읽는데 거부감을 느끼며 읽는 경우가 적었기에 번역자에 대한 생각을 깊이 해보지 않았다. 허나 이 책을 보면서 번역이 주는 오류와 이를 바로 잡기 위한 노력, 원작가가 의도를 파악한 번역이 얼마나 중요한지는 알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재미를 떠나 번역가와 번역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