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궁 - 수수께끼의 궁
최정미 지음 / 끌레마 / 2014년 3월
평점 :
절판


역사가 항상 승자에 의해서 쓰이다보니 왜곡되어 후세에 전해지는 이야기가 꽤 있는 걸로 있다. 역사를 다시 들여다보고 재평가하는 작업들이 늘어나면서 예전에 미처 몰랐던 사실들을 접하는 것에 나름 흥미롭고 재밌게 느끼고 있다.

 

왕이라 불리지 못한 조선의 제 15대 임금이었던 '광해군'.. 단 한마디로 그를 가르쳐 폭군이라 우리는 불렀다. 임금의 자리에 앉기까지 광해군은 아버지 선조의 눈 밖에 나 있었기에 여러 가지로 힘들었다. 어렵사리 왕 위에 올라 왕권을 강화하고 실리외교를 선택한 그지만 결국 인조반정으로 축출되어 묘호조차 갖지 못한 군주가 남은 왕이다. 많은 사람들과 함께 처형되지 못한 그는 19년의 유배생활 동안 어떤 심정으로 살았을지...

 

미궁은 인조반정 후 구중궁궐 안에서 연이어 발생하는 사건을 둘러싼 진실을 밝히는 이야기다. 대전 내관 박상선과 대궐의 살림을 맞아 행하는 제조상궁마저 사라진다. 그들이 왜 감쪽같이 사라졌는지 누구도 거기에 대해 알지 못한다.

 

궁궐안의 여자는 모두 왕의 여자다. 그 누구도 왕의 여자를 건드려서는 죽음을 면치 못한다. 헌데 꽃밭을 살피는 별감으로 일하고 있는 진현은 매혹적인 궁녀에게 이끌려 그만 정을 통하고 만다. 목숨을 건 궁녀와의 만남이지만 그는 포기하지 못한다. 그들의 관계가 들통이 나서 진현은 목숨을 잃을 위기에 처한다. 헌데 그를 구해주는 여인이 있었으니... 그 여인은 인조의 총애를 받고 있던 소용 조씨... 그녀가 진현의 목숨을 무기로 거래를 원한다. 그녀의 어린 아들을 누군가 노리고 있다. 그 인물이 누구인지 배후를 밝혀 줄 것을 명령하는데...

 

왕의 자리에 올랐지만 인조란 인물은 광해군의 그림자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자신의 주도하에 일어난 반정이기도 했고 왕의 자리에 있는 내내 정통성 문제와 갈수록 힘들어지는 백성들의 살림, 여기에 소현세자에게 왕위를 물러주게 될까봐 항상 불안감에 휩싸여 지냈다. 소현세자의 갑작스런 죽음은 인조와 관련이 있다는 이야기가 다른 책에서 본 적이 있을 정도라 개인적으로 평소에 인조임금에 대해 별로 좋은 느낌을 갖고 있지 않다.

 

계속해서 일어나는 살인사건의 배후 인물로 인조의 아들 중 한 명이 의심스럽다. 허나 그 역시 진실을 밝힌다며 진현의 행동을 제지하지 않고 조사를 벌이는데....

 

숱한 여자들을 자신의 여자로 만든 광해군.. 그의 마지막 여자로 승은을 입었지만 그 시간이 너무나 짧았다. 광해군의 기나 긴 19년이 끝나는 시점...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일을 실행에 옮겨야 한다. 서로의 존재를 알았기에 무슨 수를 써서도 살려고 노력했던 사람들... 허나 이들의 만남은 끝내 이루어지지 못하고 비극으로 끝나고 만다.

 

살인사건의 모든 진실은 안타깝고 슬픈 진실 안에 숨겨져 있다. 가해자가 곧 세상 누구보다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인물이다. 살기 위한 행동이었다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옳은 일을 했다는 믿음 하에 행동한 것이다.

 

우리에게 익숙한 역사속 인물을 토대로 새롭게 탄생한 소설 '미궁' 살인사건을 풀어가는 형식도 흥미롭고 궁궐이란 특수한 공간만이 가진 이야기는 충분히 매력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